재기 노리는 금호아시아나 박삼구 회장 외로운 투쟁

재기 노리는 금호아시아나 박삼구 회장 외로운 투쟁

입력 2014-11-18 00:00
업데이트 2014-11-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기를 노리고 있는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사면초가다.

금호아시아나가 재기하기 위해서는 금호산업을 되찾는 일이 급선무다. 지분 구조가 ‘금호산업-아시아나항공-금호터미널’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금호산업을 잃으면 아시아나항공, 금호터미널 경영권도 찾기 어려운 구도다.

그런데 내년 본격화될 금호산업 매각을 앞두고 심상찮은 움직임이 일고 있다. 현재 금호산업 지분은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5.30%, 박 회장의 장남인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이 5.10%를 쥐고 있다. 채권단을 빼면 박 회장 일가가 최대 주주다.

그런데 최근 호반건설이 이 회사 지분을 6.16%로 늘리면서 박 회장 일가를 바짝 쫓고 있다. 기업 인수합병(M&A) 관계자는 “호반건설이 보유 자금력도 탄탄한 데다 M&A 전문가를 미리 영입한 만큼 경영권 인수전에 적극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강력한 수준의 우선매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문제는 자금 동원 능력이다. 전체 지분의 50%+1주를 들이는 데 필요한 자본은 시가로만 2500억원 규모. 여기에다 시가총액 9000억원 상당의 아시아나항공 경영권, 금호고속 우선매수권까지 지닌 금호터미널 지분 100% 등을 감안하면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을 전망이다. 박 회장 입장에서는 보유 현금과 나머지 자산 매각, 우호적인 투자자(FI) 모집으로 금호산업을 쉽게 인수할 것으로 생각했는데 의외의 복병이 나타난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금호고속 매각을 놓고 최대 주주인 IBK투자증권-케이스톤 사모펀드(PEF)와 금호아시아나그룹 간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PEF는 최근 금호그룹이 임명한 김성산 대표이사가 금호고속 매각 가치를 훼손시키고 매각 절차를 방해한다며 김 대표를 해임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서는 그룹의 모태인 금호고속마저 잃어버릴 위기에 처했다.

아시아나항공도 최근 지난해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사고와 관련, 정부로부터 45일 운항정지 처분을 받았다.

아시아나항공은 17일 국토교통부에 이의를 신청한다고 밝혔지만 처분이 경감될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다. 우군도 없다. 박 회장은 외롭게 싸워야 한다. 금호석유화학이 그룹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형제의 도움은커녕 적대 관계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11-18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