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만원 수입 패딩점퍼 대부분 오리털 충전재 사용

수백만원 수입 패딩점퍼 대부분 오리털 충전재 사용

입력 2014-11-19 00:00
업데이트 2014-11-19 14: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벌 가격이 백만원을 넘는 고가 수입 패딩점퍼 대부분에 보온용 충전재로 거위털이 아닌 오리털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다운 점퍼의 핵심 소재인 충전재의 원산지 표시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수입업체가 충전재의 원산지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소비자문제 연구소 컨슈머리서치는 8개 프리미엄 다운점퍼 수입브랜드와 아웃도어 브랜드 9개 등 총 17개 브랜드 25개 제품의 충전재를 조사한 결과 고가 수입 제품 16개 가운데 거위털을 사용한 제품은 4개 뿐이었다고 19일 밝혔다.

제품 가격이 300만 원에 육박하는 몽클레르와 219만원∼354만 원의 에르노 브랜드 제품의 충전재에만 거위털이 쓰이고 있었다.

반면 캐나다구스, 파라점퍼스, CMFR, 노비스, 아이그너, 무스너클 등 6개 브랜드 12개 제품에는 오리털 충전재가 사용됐다.

일반적으로 거위털은 솜털 크기가 커서 보온성이 뛰어나고 중량에 비해 볼륨감이 있다. 가격도 오리털보다 비싸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오리털을 쓰는 제품도 수입 명품이라는 미명아래 최저 108만원에서 최고 271만원에 이르는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다.

반면 조사대상 9개 아웃도어 브랜드는 거위털을 충전재로 사용했다.

아웃도어 브랜드 제품 가격은 43만∼79만 원으로 고가 수입 브랜드보다 훨씬 저렴하지만, 오히려 충전재로는 비싼 거위털을 사용한 것이다.

보온성을 결정하는 충전재 혼합 비율면에서도 아웃도어 제품이 프리미엄 브랜드보다 우위에 있다.

통상 솜털 비율이 높을수록 보온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는데, 프리미엄 브랜드 가운데 CMFR과 노비스만 100% 솜털을 채웠고 나머지 브랜드 제품은 솜털과 깃털을 섞어서 썼다. 캐나다구스, 아이그너, 무스너클 브랜드는 오리털을 사용하는데다 깃털비율이 20%에 달했다.

아웃도어 브랜드 중에는 노스페이스와 밀레만 깃털비율이 20%였고, 나머지 대부분은 솜털을 90% 사용했다.

그 뿐만 아니라 충전재의 원산지 표시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

CMFR과 노비스 2개 브랜드만 별도 태그로 원산지를 표시했고, 일부 브랜드는 수입 업체조차 충전재 원산지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파라점퍼스는 본사가 이탈리아에 있지만 제품은 중국에서 생산되고, 오리털도 중국산을 쓴다고 설명했다. 독일 브랜드인 아이그너는 중국에서 생산되지만 충전재의 원산지가 어디인지를 밝히지 못했다.

아웃도어 브랜드의 경우 노스페이스와 블랙야크, 밀레, 컬럼비아는 충전재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은 반면, 라푸마와 K2, 디스커버리, 네파, 코오롱은 별도의 태그로 원산지를 밝혔다.

최현숙 컨슈머리서치 소장은 “수입 고가 다운점퍼는 가격이 100만 원이 훌쩍 넘는 만큼 패딩의 기능적인 면을 제대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충전재 원료와 혼합비율, 원산지 등을 꼼꼼히 확인한 뒤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