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사장님 줄고, 베이비부머 사장님 넘쳐난다

젊은 사장님 줄고, 베이비부머 사장님 넘쳐난다

입력 2014-12-17 00:00
업데이트 2014-12-17 0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9세 이하 신설법인 4년연속↓ 50대 이상은 6년간 7%P 급증

전체 창업자 가운데 20∼30대 ‘젊은 사장님’이 줄고, 50대 이상 ‘베이비부머 사장님’은 빠르게 늘고 있다. 도전형 창업보다 생계형 창업이 많다는 뜻이다. 우리 경제의 역동성이 떨어지는 원인 가운데 하나도 여기에 있다.

16일 통계청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올 1∼3분기 신설법인 가운데 39세 이하가 설립한 회사는 1만 6869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 6112곳)보다 4.7% 늘었다. 같은 기간 50대 이상이 만든 신설법인(1만 8148곳→2만 1005곳)은 15.4% 급증했다. 39세 이하 창업 증가율의 3배가 넘는다. 39세 이하가 세운 신설법인 비중은 ▲2011년 28.67% ▲2012년 28.38% ▲2013년 28.20% ▲올해(1∼3분기) 27.0%로 4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 갔다. 20∼30대가 만든 신설 법인은 관련 통계가 나온 2008년만 해도 전체의 31.03%였다. 2009년 30.64%, 2010년 30.70% 등 꾸준히 30%대를 유지하다가 2011년부터 꺾이기 시작했다.

50대 이상이 만든 신설 법인 비중은 2008년 26.67%에서 2013년 32.60%로 증가했다. 올해도 33.57%로 지난 6년간 7% 포인트가량 급증했다.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기업정책실장은 “베이비부머들은 대체로 안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창업이 늘어났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라면서 “블루오션을 찾아내는 청년 창업이 증가해야 국가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규와 기존 창업까지 모두 포함한 20∼30대의 자영업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 사업에 실패해 퇴출당한 ‘청년 사장’들이 다시 일어서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는 방증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 조사로 본 39세 이하 자영업자 수는 지난해 96만 5000명으로 전년(100만 2000명) 대비 3.7%(3만 7000명) 감소했다. 청년 자영업자 수가 정점을 찍은 2005년보다 52만 8000명(54.7%)이나 급감한 것이다.

20~30대 창업이 활기를 띠지 못하는 이유로는 창업하기 어려운 환경과 정부 규제, 기업가 정신의 부재 등이 꼽힌다. 김기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에는 정부가 정보기술(IT) 창업을 과감히 육성해 지금의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나올 수 있었다”면서 “박근혜 정부도 창업을 강조하고 있지만 청년보다 중·장년층의 재창업 정책에 더 집중하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4-12-17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