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같은 조직 문화 바꾸자”… 3대 승부수 띄운 이경섭 농협은행장

“곰 같은 조직 문화 바꾸자”… 3대 승부수 띄운 이경섭 농협은행장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6-03-22 22:40
업데이트 2016-03-22 23: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공서열 깨라, 양보다 질이다, 해외로 나가라

농협은행은 흔히 ‘곰’에 비유된다. 우직하지만 둔하다는 의미가 혼재돼 있는 별칭이다. 은행원들 사이에서는 후자의 부정적 이미지에 방점이 더 찍혀 있다. 농협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은 339조 8000억원이다. 업계 수위다. 하지만 연간 순이익은 4023억원으로 다른 시중은행의 석 달치 순익에 불과하다. 석 달 전 취임한 이경섭 농협은행장은 3가지 승부수를 꺼내 들었다.

이미지 확대
이경섭 농협은행장
이경섭 농협은행장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행장은 취임하자마자 부장급 이하 발탁인사 대상자를 3배 이상 늘리는 파격을 단행했다. 지난해 46명을 조기 승진시켰는데 올해 이 숫자를 140명까지 늘린 것이다. “우수한 직원은 빨리 키워 연공서열에 익숙해진 조직 문화에 자극을 던지겠다”는 게 이 행장의 포석이다. 대졸 신입으로 입행한 주임급(6급) 직원이 과장급(4급)이 되려면 통상 10년이 걸린다. 하지만 이 행장 체제에서는 ‘5년’을 노려볼 수 있게 됐다.

더 큰 파격은 ‘성적표’에서 나왔다. 은행원들이 ‘목숨보다 소중하게 여긴다’는 ‘핵심성과지표’(KPI·Key Performance Index) 산출 방식을 대폭 바꾼 것이다. KPI는 임직원 및 영업점 성적을 매기는 기준으로 인사 고과 및 성과급 등을 결정하는 핵심 잣대다. 이 행장은 건수 중심의 ‘정량평가’를 수익성 중심의 ‘정성평가’로 바꾸도록 지시했다.

예컨대 대출 창구 직원은 대출 상품만 잘 팔아도, 수신 창구 직원은 예·적금만 잘 팔아도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종전에는 대출 담당도 예·적금 실적을 의무적으로 채워야 했다. 그러다 보니 개인별 할당을 맞추려고 건수만 올리거나, 자신이 팔지도 않은 예·적금과 대출, 펀드 등을 서로 교환하는 ‘거래’가 비일비재했다.

이 행장은 “수학 잘하는 사람한테 영어는 물론 미술, 음악까지 잘하라고 하는 게 과거 평가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대출 잘하는 사람은 대출만, 예금 잘 받는 사람은 예금만 잘 받으면 된다”고 말했다.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잘하면 좋은 평가(KPI)를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이 행장은 “평가를 위한 평가와는 이제 결별할 때”라고 잘라 말했다. 업계에서는 처음 이뤄지는 시도로, 상당한 파격이다. 물론 궁극적인 목표는 수익성 강화다. “잘하는 것에 집중하면 수익성도 더 올라갈 수 있다”고 이 행장은 자신했다.

다른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해외시장 진출도 농협만의 장점을 앞세워 차별화할 계획이다. 이 행장이 가장 공을 들이는 시장은 중국이다. 중국 최대 농업협동조합인 ‘중화전국공소합작총사’와 지난해 말 업무협약도 맺었다. 총자산 187조원, 한 해 영업이익만 약 25조원(2014년 기준)에 이르는 국영기업이지만 아직 농업금융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상태다. 금융기술 이전, 경영 자문, 재무적 지분투자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협상 중이다. 이 행장은 “농협은행은 1960~70년대 아무것도 없던 우리 땅에 농촌 현대화를 일군 경험이 있는 유일한 금융사”라면서 “농업인 대출부터 농기계 사업, 유통까지 농협만이 잘할 수 있는 사업으로 승부수를 건다면 충분히 승산 있는 게임”이라고 강조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6-03-23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