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ㆍ마트, 청탁금지법 수혜?…오히려 매출 늘어

백화점ㆍ마트, 청탁금지법 수혜?…오히려 매출 늘어

입력 2016-10-31 07:20
업데이트 2016-10-31 07: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유통업계는 별다른 타격을 입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 매출은 오히려 작년 같은 기간보다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백화점도 우려와 달리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31일 이마트에 따르면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난 9월 28일부터 한 달간(9월 28일~10월 26일) 전체 매출은 7.0% 증가했다.

청탁금지법 시행 전과 비교하면 최근 한 달 매출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올해 1~9월 이마트의 전체 매출 신장률은 4.9%였다.

법 시행 후에는 신선식품 매출이 13.5% 증가하며 판매 신장을 이끌었다. 축산과 채소 매출이 각각 20.4%, 17.7% 늘었고 과일 판매도 14.2% 증가했다.

접대나 모임 대신 일찍 귀가해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맥주(12.4%) 등 주류 매출은 같은 기간 7.5% 증가했다.

9월까지 신선식품 매출 증가율은 1.1%에 불과했다. 과일과 채소는 1~9월 각각 1.7%, 1.4% 매출이 느는 데 그쳤다. 최근 20%대 매출이 증가한 축산도 9월까지는 3.0% 성장했다.

청탁금지법 시행 직후인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9일까지 대대적 할인 행사인 코리아 세일페스타가 열린 점도 매출 증가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산업통상자원부가 코리아 세일페스타에 참여한 주요 유통업체 실적을 집계한 결과, 대형마트 매출은 작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보다 1.6% 늘었다.

이는 면세점(29.5%), 백화점(8.7%) 등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로, 대형마트 실적에는 코리아 세일페스타가 미친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백화점은 상대적으로 코리아 세일페스타의 효과를 더 누렸다. 결과적으로 화훼산업 등 일부 업종은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직격탄을 맞고 있지만 유통업계는 별다른 피해를 보지 않은 셈이 됐다.

롯데백화점은 청탁금지법 시행 후 한 달간 전체 매출이 4.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품권 판매도 작년 동기 대비 7% 늘었다.

품목별로는 해외의류 21.5%, 해외시계보석 15.4%, 생활가전 17.9%, 가구·홈패션 19.4% 등의 매출이 많이 늘었다.

외식업계도 청탁금지법 관련 피해 업종으로 분류되지만 백화점 내 고급식당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롯데백화점 본점 에비뉴엘 일식 리스토랑 ‘타니’의 경우 법 시행 후에도 점심 예약 건수 20건을 유지하고 있다. 이 식당의 런치코스 최저 가격은 3만9천600원이다.

이 백화점 고급 한정식집 ‘윤가명가’도 법 시행 이전과 비슷하게 15건 내외 예약이 이뤄지고 있다. 이 식당 점심 코스는 5만5천 원, 8만5천 원 두 가지로 구성돼 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윤가명가’는 청탁금지법 시행에 대비해 점심에만 운영하는 3만 원 짜리 반상메뉴를 신설했으나 찾는 고객이 많지 않았다”며 “백화점의 경우 아직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