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실업’ IMF 이후 최악…지난해 취업자 21만 8천명 감소

‘코로나 실업’ IMF 이후 최악…지난해 취업자 21만 8천명 감소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1-13 08:21
수정 2021-01-13 08: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일하고 싶다… 내일을 꿈꾸는 간절한 기다림
일하고 싶다… 내일을 꿈꾸는 간절한 기다림 매서운 한파가 몰아친 17일 새벽 광주 북구의 한 인력사무실 앞에서 일감을 기다리는 노동자들이 커피 한 잔으로 추위를 달래고 있다. 임시·일용직을 포함해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달까지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외환위기 이후 가장 긴 ‘고용 한파’다.
광주 뉴스1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가 11년 만에 줄어들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690만 4000명으로 1년 전보다 21만 8000명 감소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국면인 1998년(-127만 6000명) 이래 22년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8만 7000명) 이후 11년 만에 취업자 수가 줄어든 기록이다. 취업자 수 감소는 1998년과 2009년 이외 오일쇼크가 덮친 1984년(-7만 6000명), 카드 대란이 벌어진 2003년(-1만명) 등 모두 4차례 있었다.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652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62만 8000명 줄었다. 1999년 2월(-65만 8000명)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코로나19 영향이 시작된 지난해 3월 이후 10개월 연속 감소한 것이다.

1998년 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 기간이다.

지난해 3월 이후 취업자 수 증감을 보면 3월 -19만 5000명, 4월 -47만 6000명, 5월 -39만 2000명, 6월 -35만 2000명, 7월 -27만 7000명, 8월 -27만 4000명, 9월 -39만 2000명, 10월 -42만 1000명, 11월 -27만 3000명 등이었다.
이미지 확대
캄캄한 구직터널에 한 줄기 빛 비출까
캄캄한 구직터널에 한 줄기 빛 비출까 16일 한 구직자가 서울 성동구청 희망일자리센터 구인 게시판에서 일자리 정보를 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장기화 여파로 올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지난해 실업자 수는 전년 대비 4만 5000명 늘어난 110만 8000명이었다. 통계 기준을 바꾼 이래 연도별 비교가 가능한 2000년 이후 가장 많다.

작년 실업률은 4.0%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2001년(4.0%) 이후 최고치다.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8% 포인트 하락한 60.1%였다. 이는 2013년(59.8%) 이후 최저치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코로나19 확산에 숙박·도소매·교육 등 대면 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많이 줄었다”며 “올해 고용상황 역시 코로나19 확진자 수 추이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