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 캐리’ 자금 전체 3.4조 달러
2008·2020년 위기 때 1조 청산
“시장 위기시 변동성 증폭 요인”
지난 8월 초 글로벌 증시 폭락의 주 요인으로 꼽히는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전체 규모가 약 3조 4000억달러(506조 6000억엔)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향후 미일 금리차가 줄어들고 그로 인해 엔 캐리 자금의 매력이 떨어지면 이 가운데 6.5%인 2000억달러(32조 7000억엔)가 청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4일 ‘최근 엔캐리 트레이드 수익률 변화와 청산가능 규모 추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국가의 돈을 빌려 금리가 높은 국가의 돈으로 환전한 뒤 그 국가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2016년 이후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2022년부터 미국이 고금리 기조로 전환하면서 ‘엔 캐리’ 투자가 크게 늘어났다. 하지만 지난 8월 초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맞물리면서 엔 캐리 자금의 이탈했고, 이로 인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는 ‘블랙먼데이’ 사태가 발생했다.
한은은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위기를 직접 유발하지는 않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나 코로나19처럼 금융시장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 변동성을 더욱 증폭시킨다고 분석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해외 증시에서 청산된 엔캐리 자금은 4000억달러,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청산된 자금은 5000억달러로 추정했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 엔화 차입 규모가 크지 않아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8월 글로벌 증시 폭락 때처럼 외국인 자금이 글로벌 위험 회피 심리에 따라 유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 연구팀은 “미 연준이 향후 완화 기조를 지속해 미일 금리차가 축소되고 엔화가 강세 흐름을 보일 경우 2022년 이후 누적된 엔 캐리 자금이 청산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특히 고금리 취약 신흥국에 캐리 자금이 과도하게 유입돼 환율이 크게 고평가된 상황이라면 관련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08·2020년 위기 때 1조 청산
“시장 위기시 변동성 증폭 요인”
日 ‘금리 인상’ 조짐에 엔화값 강세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엔화를 정리하고 있다. 2024.7.30/뉴스1
지난 8월 초 글로벌 증시 폭락의 주 요인으로 꼽히는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전체 규모가 약 3조 4000억달러(506조 6000억엔)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향후 미일 금리차가 줄어들고 그로 인해 엔 캐리 자금의 매력이 떨어지면 이 가운데 6.5%인 2000억달러(32조 7000억엔)가 청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4일 ‘최근 엔캐리 트레이드 수익률 변화와 청산가능 규모 추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가 낮은 국가의 돈을 빌려 금리가 높은 국가의 돈으로 환전한 뒤 그 국가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2016년 이후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2022년부터 미국이 고금리 기조로 전환하면서 ‘엔 캐리’ 투자가 크게 늘어났다. 하지만 지난 8월 초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맞물리면서 엔 캐리 자금의 이탈했고, 이로 인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는 ‘블랙먼데이’ 사태가 발생했다.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 추정 규모
자료 : 한국은행
(※1달러=150엔으로 환산. 엔화 선물 순매도 포지션은 2024년 8월 7일, 나머지 자금은 2024년 3월 기준.)
(※1달러=150엔으로 환산. 엔화 선물 순매도 포지션은 2024년 8월 7일, 나머지 자금은 2024년 3월 기준.)
한은은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위기를 직접 유발하지는 않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나 코로나19처럼 금융시장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 변동성을 더욱 증폭시킨다고 분석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해외 증시에서 청산된 엔캐리 자금은 4000억달러,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청산된 자금은 5000억달러로 추정했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 엔화 차입 규모가 크지 않아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8월 글로벌 증시 폭락 때처럼 외국인 자금이 글로벌 위험 회피 심리에 따라 유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 연구팀은 “미 연준이 향후 완화 기조를 지속해 미일 금리차가 축소되고 엔화가 강세 흐름을 보일 경우 2022년 이후 누적된 엔 캐리 자금이 청산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특히 고금리 취약 신흥국에 캐리 자금이 과도하게 유입돼 환율이 크게 고평가된 상황이라면 관련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