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시장 관망세 계속… 동대문구만 소폭 상승

전세시장 관망세 계속… 동대문구만 소폭 상승

입력 2012-04-02 00:00
업데이트 2012-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택시장의 관망 분위기가 한층 짙어졌다. 실수요자들이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를 꺼리면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매물은 쌓이는데 매수 문의가 아예 없다는 곳도 늘었다.



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봄 이사철 수요가 줄어든 시장에선 전세를 중심으로 안정세가 뚜렷해졌다. 서울 지역의 이동 수요가 적어 시장이 한산한 가운데 관악·양천·송파구에선 전셋값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동대문구 등 일부 지역에서만 소폭 상승했다.

관악구는 지난달 중순 이후 전세 문의조차 줄었다. 관악푸르지오(79㎡)는 2억 2000만~2억 3000만원 선으로 750만원가량 하락했다. 양천구는 새 학기 학군 수요가 일단락되면서 전·월세 물량이 늘었다. 목동 금호베스트빌(125㎡)은 2억 9000만~3억 1000만원 선으로 500만원가량 내렸다.

동대문구에선 재계약 비율이 높아 전세 물량이 부족했다. 답십리동 동답한신(82㎡)은 1000만원가량 상승해 1억 7000만~1억 8000만원 선이다.

신도시에서는 산본·평촌 등의 하락세가 뚜렷했다. 산본은 세입자 찾기가 어려운 중·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산본동 계룡삼환(138㎡)은 2억 5000만~2억 6000만원 선으로 1000만원가량 내렸다. 평촌은 인근 신규단지 입주를 위해 기존 세입자들이 재계약을 포기하면서 전세 물건이 늘었다. 관양동 한가람신라(79㎡)는 1000만원 내린 1억 6000만~1억 7000만원 선이다.

경기 지역은 소폭 하락했다. 과천·동두천 등 2곳의 변동률이 두드러졌다. 과천은 재건축 단지의 전셋값이 조정되며 2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중앙동 주공1단지(52㎡)는 500만원 하락해 1억 3000만~1억 5000만원 선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4-02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