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강변 따라 조성되는 신흥주거벨트 ‘센텀생활권’ 주목

수영강변 따라 조성되는 신흥주거벨트 ‘센텀생활권’ 주목

입력 2016-04-11 18:10
업데이트 2016-04-11 18: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과 수도권에서 강남과 분당 생활권역에 들어선 아파트는 시세가 안정적이고 대기수요도 많은 편이다. 일단 안정적인 주거벨트가 형성된 권역 안에 들어서면 여간 해서는 프리미엄에도 큰 변동이 없다.

이러한 생활권 프리미엄이 최근에는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세종시와 부산 등을 중심으로 주거벨트가 확장되는 추세다. 세종시에서는 1-1생활권이 대체적으로 학군, 교통, 주거여건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에서는 선호지역으로 센텀시티 생활권이 꼽힌다. 지난 3일 국토교통부의 사업 승인을 받아 사업이 본격화된 센텀2지구는 해운대구 반여동·반송동 일원에 총 사업비 1조4,235억 원을 투입, 오는 2018년 착공,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된다.

센텀2지구 조성이 완료되는 2022년에는 센텀시티부터 센텀2지구까지 수영강변을 따라 하나의 신흥주거벨트가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센텀시티의 인프라를 비교적 손쉽게 누릴 수 있는 인근 지역까지 선호도가 확산돼 ‘센텀생활권’이라 불리며 몸값을 높이고 있다.

실제 2005년 입주한 반여동 ‘센텀피오레’는 센텀시티가 본격적으로 모습을 갖추면서 ‘센텀생활권’으로 편입되었고, 그 후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기도 했다.

KB부동산 시세에 따르면 ‘센텀피오레’의 평당 가격은 2007년 509만원에서 2016년 1,000만원으로 10년 새 200%나 상승했다. 입주 12년 차 노후 아파트인 점을 고려하면 센텀생활권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포스코건설이 5월 분양하는 ‘해운대 더샵 센텀그린’은 센텀권역에서 다섯 번째로 선보이는 ‘더샵’ 브랜드 아파트다.

이 단지는 북측으로 산업과 연구, 교육 기능이 어우러진 ‘센텀2지구(208만㎡ 규모)’가 위치해 있고, 남측에는 이마트, 홈플러스,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센텀시티가 위치해 있어 센텀시티와 센텀2지구의 생활권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7개 동, 총 464가구로 건설되며, 전용면적 59㎡, 72㎡의 중소형 평형으로만 공급될 예정이다. 모델하우스는 해운대구 우동 1522번지에 조성되며, 5월 오픈 예정이다.

뉴스팀 seoule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