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 미국이 삼켰다…전체 시장 83% 점유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 미국이 삼켰다…전체 시장 83% 점유

유규상 기자
유규상 기자
입력 2024-02-16 13:45
업데이트 2024-02-16 1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비트코인 이미지. 서울신문 DB
비트코인 이미지. 서울신문 DB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로 자금 유입이 이어지는 가운데 해당 상품을 취급하는 세계 11개 국가 중 후발주자인 미국의 거래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대규모 자산운용사들이 현물 ETF를 직접 취급하며 거래가 활성화되자 시장 점유율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16일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코인게코는 지난달 10일(현지시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승인 이후 미국이 비트코인 현물 ETF 세계 시장 점유율이 83%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전까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던 캐나다는 7.4%로 내려앉았다.

현물 ETF는 펀드화된 비트코인을 거래소에 상장하고 주식과 같은 조건으로 매매와 투자를 할 수는 상품이다. 기존에는 암호화폐를 단순하게 사고팔았지만 승인 이후 다양한 자산 투자가 가능해지면서 대규모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됐다.

전 세계 비트코인 현물 ETF 상품은 총 33개로 총자산 규모는 417억 4000만 달러(약 55조 6519억원)에 달하는데 미국이 취급하고 있는 상품의 규모는 347억 8000만 달러다. 미국에서 승인되기 이전인 지난해 11월 기준 시장에 출시된 상품은 총 20개였으며 자산 규모는 41억 6000만 달러에 불과했다.

현물 ETF는 2020년 독일이 최초로 출시했으나 이듬해 캐나다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상장하며 점유율 1위에 올라섰다. 2021년 세계 각국이 신규 발행한 상품은 총 14개로 가장 많았으며, 최근에는 미국이 11개의 상품을 새로 출시했다.

상위 10개 비트코인 현물 ETF의 세계 시장 점유율 중 9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 자산운용사인 그레이스케일이 발행한 GBTC는 총자산이 228억 3000만 달러로 전체 비트코인 현물 ETF 규모의 절반 이상(54.7%)을 차지한다. 그레이스케일은 지난달 현물 ETF 승인 직후 기존에 운영하던 비트코인 신탁 상품을 현물 ETF로 전환해 상장했다. 이때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을 위해 보유 비트코인을 팔고 현물 ETF를 구매했는데 그 규모로 인해 비트코인의 가격은 한때 급락했다.

최근 해외 금융기관의 현물 ETF 매수세가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자산운용사 반에크의 매튜 시겔 가상자산 연구 책임자는 “금융기관·은행의 비트코인 ETF 상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그들이) 비트코인을 채택할 기회도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자체 ETF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10만개를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규상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