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행복해지는 마음가짐/오동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생명의 窓] 행복해지는 마음가짐/오동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입력 2012-12-29 00:00
업데이트 2012-12-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동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오동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우리는 행복해지고 싶어한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 미국의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자신의 저서 ‘몰입’에서 우리가 행복을 느끼는 순간은 목표를 이루었을 때가 아니라,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서 몰입(flow)하고 있을 때라고 했다. 즉, 무언가를 추구하는 마음상태가 행복을 유발한다고 했다.

하지만 추구하는 마음가짐의 작은 차이에 따라 행복과 불행이 나뉜다. ‘희망’과 ‘집착’의 두 가지 마음 자세에 따라 행복과 불행으로 갈라설 수 있다. 희망과 집착은 똑같이 무언가를 바라는 마음이다. 언뜻 보기에는 같은 마음 상태인 것 같다.

집착은 바라는 것이 안 되었을 때 원망을 하고 짜증을 낸다. 결과만 중요하게 생각하고, 과정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꼭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고 스스로에게나 주위 사람에게 강요하여 힘들게 한다.

희망하는 마음은 다르다. 내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더라고 화를 내지 않는다. 상황이 내가 원하는 대로 풀리지 않아도 원망하지 않는다. ‘어쩔 수 없음’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결과보다는 목표를 향해 나가는 과정에서 보람을 느낀다.

사람들은 결과가 좋으면 영원히 행복할 것이라 믿지만, 그렇지 않다. 목표를 이룬 결과가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기는 하지만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대니얼 네틀의 ‘행복의 심리학’에 의하면 복권에 당첨되면 사람들은 몇 개월 동안만 평소보다 더 행복할 뿐, 곧 이전의 행복 수준으로 돌아간다고 했다. 이미 모든 것을 다 이룬 사람은 행복할까? 아니다. 그 사람은 아무것도 할 것이 없는 현재의 상황을 견디지 못할 것이다. 권태 속에 시들어지고, 말라비틀어질 것이다.

삼성의 이건희 회장이 고희를 넘어선 나이에 왜 회장직에 복귀했을까? 그는 세상 사람들이 바라는 행복할 수 있는 조건을 이미 이루었다. 엄청난 돈을 벌어놨고, 삼성을 세계적 기업으로 키워놓았다. 지금 괜히 나섰다가 기껏 잘 키워놓은 명성에 먹칠을 할 수도 있다. 보통사람들은 ‘만약에 내가 이건희 회장이라면 그냥 은퇴하고 여생을 평화롭게 즐길 텐데….’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그가 이미 모든 것을 이뤄놓았다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여생을 보낸다면 얼마나 지루하겠는가? 그래서 목표를 향해 정진할 때의 행복감을 그는 잊지 못하고, 다시 치열한 경쟁의 세계 속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자기 능력 밖에 무리한 목표를 세우고, 무작정 오기를 부리는 것은 불행해지는 지름길이다. ‘하면 된다’라는 구호를 신봉하고 무작정 자신을 몰아치는 것이 바람직한 생활태도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서점마다 넘치듯이 많은 처세술 책에도 ‘포기하지 말고 집요해야 성공한다.’라고 역설한다. 그러나 아무리 노력해도 자신이 원하는 대로 모든 일이 풀릴 수는 없다. 이럴 때 집착의 마음을 갖고 있으면 누군가를 원망하게 된다.

인간만이 자기 기분에 안 맞는다고 항상 투덜거리고, 툭하면 신을 원망한다. 신에게 가장 축복을 받은 인간이 가장 신을 원망한다는 것은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 초원의 얼룩말들은 조금 전에 자신의 친족이나 동족이 사자에 잡혀먹어도 바로 다시 풀을 뜯어먹는다.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매우 비정한 것 같다. 지능이 낮아서 그런 것 같다. 그러나 얼룩말이 사자나 신을 원망한다고 이미 죽어버린 동족은 살아 돌아오는 것이 아니다. 내 뜻과 다르게 세상이 돌아가도 아무 원망 없이 현재에 충실하게 살 뿐이다. 되돌릴 수 없는 과거를 후회하고 원망하는 대신 자연의 섭리 속에 아무 저항 없이 평온하게 지낸다.

‘위대한 개츠비’의 작가 스콧 피츠제럴드의 단편에 영감을 받아 데이비드 핀처 감독이 만든 영화 ‘벤저민 버튼의 시계는 거꾸로 흐른다’에 나온 다음과 같은 명대사가 있다.

“누구나 역경에 접하면 발악하고 원망한다. 그러나 아무리 그래도 결국은 받아들여야 한다.”

이것이 희망의 겸손한 자세이다. 그리고 자연의 순리에 따라가는 자세이다.

2012-12-29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