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암 정복할 것인가, 정복당할 것인가?/황성주 이롬 대표

[생명의 窓] 암 정복할 것인가, 정복당할 것인가?/황성주 이롬 대표

입력 2013-11-09 00:00
업데이트 2013-11-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성주 이롬 대표이사
황성주 이롬 대표이사
대한민국은 암 공화국이다. 암으로 인한 공포가 개인은 물론 경제의 근본을 흔들고 있다. 중앙암등록본부 암 통계에 의하면 한국의 암환자 수는 2000년 22만명에서 2010년 96만명으로 4배 이상 급증했다. 더욱이 신규 암 발생자가 매년 20만명씩 생기고 7만 5000명이 암으로 사망할 정도로 암은 이제 희귀한 풍토병(endemic)이 아닌 누구나 예방해야 할 유행병(epidemic)이 되고 있다. 현재 암 환자는 130만명에 이르고, 암 환우 가족들까지 합하면 600만명 이상이 암으로 고통당하고 있다. 이제 국가적으로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함께 힘을 모아 암을 정복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필자가 위기 의식을 갖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암환자 중 40, 50대가 60%에 육박한다는 것이다. 이는 가장 경제활동이 왕성한 계층, 가장 영향력 있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적 리더그룹에서 암 환자가 급증한다는 뜻이다. 건강보험 재정을 제외하더라도 암 환자 가족이 치료비로 매년 100만원을 쓴다고 가정하면 추산되는 가계 비용이 총 1조 3000억원에 이르고 매년 500만원을 쓴다고 하면 총 6조 5000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돈을 지출하게 된다. 여기에 건강보험 재정과 암 보험 비용, 사회적 기회비용과 경제활동 손실 비용을 추가한다면 급증하는 암 환자 탓에 수십 조원에서 수백 조원에 이르는 국가적 손실을 보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아무도 이 문제를 사회·경제적, 국가적 시각으로 보지 않고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고 있다.

로마제국은 술 맛을 극대화하기 위해 술에 중금속을 넣었다. 그 때문에 최고 리더들의 중추신경계가 손상되었고 국가경영의 판단력이 혼란을 일으켜 결국 로마가 멸망했다고 한다. 중세 유럽은 인구의 3분의1을 몰살시킨 페스트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고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등 모든 국가 기반이 붕괴하여 결국 해체의 길로 갔다고 한다. 미국은 전체 인구의 61%가 비만(그중 27%가 고도비만)으로 고혈압, 심장병 등의 성인병이 급증하고 있다. 여기에다 고비용의 의료비, 극빈자와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전액 국가 부담 의료비(medical expenses) 체계로 인한 비용이 천문학적이어서 헤어날 수 없는 악성 재정 적자로 이어져 국가가 몰락 위기에 빠졌다. 한국 역시 급증하는 암 환자 때문에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는데 속수무책이다.

1971년 닉슨 대통령은 ‘암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해마다 암으로 수십만 명이 죽어가자 닉슨 정부는 5년 내에 암을 퇴치하겠다고 선언했었다. 하지만, 40년 동안 아무 변화가 없다. 심장병 사망률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과 대조적으로 암 사망률은 오히려 증가 추세다. 암과의 전쟁에서 미국 정부가 진 셈이다.

미국의 실패에서 얻은 결론은 암은 ‘예방이 최상의 치료’라는 것이다. 국가경영과 가정경제라는 관점에서 보면 치료의학보다 예방의학에 투자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암 치료에 쏟아붓는 비용의 10분의1만 예방에 사용해도 암은 퇴치될 수 있고 개인과 가정은 물론 모두가 행복한 사회로 전환될 것이다. 암은 왜곡된 생활양식으로 얻은 병이다. 자연식 위주의 건강한 식생활, 흡연 추방, 생활스포츠의 확산 등을 통해 암의 뿌리를 제거해야 한다. 분주함을 벗어나 쉼과 누림을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필자의 바람이다. 대한민국이 암 공화국에서 벗어나야 경제가 살고 국민행복시대로 전환될 수 있으리라.

2013-11-09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