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중앙아시아로 흐르는 ‘녹색한류’/신원섭 산림청장

[기고] 중앙아시아로 흐르는 ‘녹색한류’/신원섭 산림청장

입력 2014-06-18 00:00
업데이트 2014-06-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원섭 산림청장
신원섭 산림청장
아시아와 유럽이 만나는 중앙아시아는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5개국이 우리나라의 약 20배에 이르는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과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 인류 문명의 발전을 주도해 왔다. 지금은 풍부한 천연자원과 경제발전 가능성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튤립의 왕이라고 불리는 ‘그레이그 튤립’ 등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가 지금 심각한 황폐화를 겪고 있다. 아랄해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넓은 내해(內海)였지만 90% 이상이 고갈된 상태다. 아랄해를 시찰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구상 최악의 환경 재앙 중 하나”라고 한탄했다. 우리나라가 중앙아시아와 ‘산림협력’에 주목하는 이유다.

중앙아시아와의 협력은 1992년 수교 이래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산림분야 협력을 위해 2002년부터 중앙아시아 산림공무원을 대상으로 초청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키르기스스탄에서 개최된 ‘제7차 한·중앙아 협력포럼’에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과 다자간 첫 협력 사례로 포괄적 산림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지난 4월 제8차 포럼에서는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협력방안을 논의하면서 실질적인 협력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산림분야 국제협력에서 중요한 가치는 국익 확보 및 상대국에 실질적인 도움이 돼야 한다는 점이다. 중앙아시아에는 경제성장 잠재력을 보고 우리의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다. 그들 국가에 우리가 숲을 조성하고, 도시에 산림휴양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경제협력을 보완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난달 13일 홍릉 수목원에서는 중앙아시아 대사 초청 산림정책 설명회가 있었다. 대사들은 우리나라가 자원·에너지 획득에만 집착하지 않고 서로가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아랄해 산림복원, 생물다양성 보전, 산림재해 공동 방재체계 마련 등의 산림협력을 제안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국토 녹화에 있어 우리가 이룩한 성과는 기적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토 녹화는 전 세계 개발도상국들이 역할 모델로 삼고 있는 한국의 대표 브랜드라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경제 성장과 국토 녹화를 동시에 성공한 국가를 찾아보기 힘든데 우리가 가능성을 입증했다. 경제 성장과 환경 보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는 성공 사례이기에 더욱 관심을 보인다. 산림청은 이런 적극적인 호응에 힘입어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아랄해 산림생태 복원사업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서울 면적의 80%에 달하는 5만㏊ 규모의 훼손지 복원 등 다양한 산림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은 중앙아시아와 동반성장을 위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제안했다. 유라시아 대륙을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 ‘평화의 대륙’으로 만들어 가자는 선언이다. 우리나라와 중앙아시아의 산림협력을 통해 구축될 ‘그린 인프라’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든든한 주춧돌이 될 것이다. 희망의 ‘녹색한류’를 통해 제2의 국토녹화 신화가 중앙아시아에서 재현될 수 있길 기대한다.
2014-06-1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