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대선 대결구도 보도’에 관한 단상/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옴부즈맨 칼럼] ‘대선 대결구도 보도’에 관한 단상/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입력 2012-09-26 00:00
업데이트 2012-09-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프레임을 선점하는 자, 대선의 승리를 잡으리라.’ 요즘 쏟아지는 대선 관련 보도들을 보며 떠오르는 단상이다. 늘 선거 때마다 후보들은 프레임 전쟁을 벌인다. ‘코끼리는 생각하지도 마’를 쓴 조지 레이코프 미국 UC 버클리대 교수는 “프레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그는 상대의 의제에 말려들면 선거에서 백전백패한다고 했다. 프레임이 형성된 상태에서 아무리 정확한 반론을 내세운다 하더라도 유권자들은 생각을 바꾸려 하지 않는 탓이다. 마치 경기의 규칙을 정하면 그 규칙에 따라 경기를 하듯 대중은 프레임에 따라 생각하고 선택하기 때문이다.

제18대 대선은 프레임 생산에서 보다 더 복잡한 양태를 띠고 있다. 진영과 얼굴의 논리를 넘어 ‘새로움’과 ‘기존의 정치구도 탈피’란 패러다임 전환이 한국 정치에서 실제 진행 중이다. 현 정권에 대해 안티를 부르짖으면 프레임 선점에서 유리했던 지그재그형 프레임에서 벗어나 ‘상자 밖에서 생각해야 하는’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신문이 9월 21일 자로 ‘박-안-문 대선 3강 프레임 전쟁’을 비롯해 세 후보의 리더십 스타일, 선거운동 기조를 총 4개 면에 걸쳐 보도한 것은 시의적절했다. 도하 각 신문보다 속도, 심도 모두 앞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프레임 분석을 보자. 보도에서 박근혜 후보의 대선 프레임 키워드는 자질로서 경륜 대 미숙의 구도로, 문재인 후보의 키워드는 서민으로서 낡은 정치 세력 교체를 구도로, 안철수 후보의 프레임 키워드는 새로운 변화로서 낡은 체제 대 미래 가치로 설명했다.

대선 프레임은 정책 못지않게 후보들의 인물, 경력이 어느 때보다 부각된다는 게 특성이다. 또 세 후보 가릴 것 없이 모두가 한목소리로 새로운 변화와 통합을 주창하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대선 전반전의 프레임 중점이 경제민주화였다면 후반전에선 ‘변화와 통합’으로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비록 단어들의 외연은 같지만 각 후보가 말하고자 하는 내포는 천양지차다. 그런 점에서 각 후보들이 의미하는 ‘새로운 변화’, ‘통합’의 구체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프레임 보도에서 함께 다루어졌으면 좋았을 것이다. 이들 후보는 위와 같은 프레임의 토대에서 어떤 어젠다를 중요하다고 생각해 공약을 준비 중인지도 궁금했다.

그리고 역대 대통령, 해외에서 프레임이 선거의 승리를 가른 사례를 함께 다뤄 보다 더 총체적 시각으로 조망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어 1997년에 김대중 후보는 ‘문제는 경제야’라는 프레임을 만들어 내고, 2002년 노무현 후보는 ‘새로운 정치’라는 프레임을, 2009년 이명박 후보는 ‘잃어버린 10년’을 통해 경제발전 문제를 부각시켜 정권을 창출했다. 정권별로 성공한 프레임과 시대정신은 무엇이고, 그것에 따라 중점설정한 국정 어젠다는 무엇이었는지 종단적으로 펼쳐 보여줬다면 보다 더 차별성 있는 보도가 되었을 것이다.

5면에선 대선 3자 대결구도를 ‘각 후보별 선거운동 기조’와 리더십 스타일, 3인 테마주 동향의 세 꼭지로 지면구성을 했다. 선거운동 기조를 ‘마음의 전쟁’으로 보고 박근혜 후보를 뚝심, 문재인 후보를 합심(合心), 안철수 후보를 진심(眞心)으로 정리한 것은 설득력이 있었다. 박근혜 후보를 중무장한 여사령관, 문재인 후보를 조용한 공수부대장, 안철수 후보를 투명인간 스타일로 묘사하고, 일러스트와 함께 설명해 흥미로웠다.

다만 이들 세 후보가 그간 조직(정당·기업)의 리더로서 발휘해온 용인술, 위기관리, 의사소통 스타일 등을 일목요연하게 비교하는 꼭지가 곁들여졌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향후 쏟아질 대선후보 관련 보도에서 중요한 것은 후보 진영 등 생산자 시각의 전달뿐 아니라 국민의 입장에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하는 수요자 중심 시각이다. 지난 24일부터 시작된 대선후보 심층분석이 이 같은 기대에 부응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2-09-2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