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엄마와 숨바꼭질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엄마와 숨바꼭질

입력 2019-09-17 17:22
업데이트 2019-09-18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12년 대전
2012년 대전
피천득(1910~2007)의 수필에는 동심이 이상향으로 등장한다. 그래선지 그의 글에는 엄마 이야기가 자주 나온다. 엄마와 숨바꼭질을 하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서 ‘나’는 엄마를 쉽게 찾아내는데, 엄마는 왜 ‘나’를 금방 찾지 못했는지 그 시절엔 몰랐다고 말한다.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엄마와 나는 숨바꼭질을 자주 했다. 그럴 때면 나는 엄마를 금방 찾아냈다. 그런데 엄마는 오래오래 있어야 나를 찾아냈다. 나는 다락 속에 있는데, 엄마는 이 방 저 방을 찾아다녔다. 다락을 열고 들여다보고서도 ‘여기도 없네’ 하고 그냥 가 버린다. 광에도 가 보고 장독 뒤도 들여다본다. 하도 답답해서 소리를 내면 그제야 겨우 찾아냈다. 엄마가 왜 나를 금방 찾아내지 못하는지 나는 몰랐다.”

요즘으로 치면 과외공부 하러 간 학원에서 ‘땡땡이’를 쳤다가 엄마에게 들통나서 종아리 맞고 울던 일도 담담하게 털어놓는다. “한번은 글방에서 공부하다 몰래 도망쳤다. 너무 시간이 이른 것 같아 한길을 좀 싸돌아다니다가 집에 돌아왔다. 내 생각으로는 그만하면 상당히 시간이 지난 것 같았다. 그런데 집에 들어서자 엄마는 왜 이렇게 일찍 왔느냐고 물었다. 어물어물했더니 엄마는 회초리로 종아리를 막 때린다. 나는 한나절이나 울다가 잠이 들었다. 자다 눈을 뜨니 엄마는 내 종아리를 만지면서 울고 있었다. 왜 엄마가 우는지 나는 몰랐다.”

피천득은 엄마가 왕비보다 더 예쁘다고 믿었다. 그렇게 예쁜 엄마가 그를 두고 달아날까봐 늘 걱정이었다. “그래서 엄마가 나를 버리고 달아나면 어쩌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때 엄마는 세 번이나 고개를 흔들었다. 그렇게 영영 가 버릴 것을 왜 세 번이나 고개를 흔들었는지 지금도 나는 알 수가 없다.” 엄마는 그가 만 아홉 살 때 세상을 떠났다.

동심을 귀하게 여긴 피천득은 점잔을 빼는 학계 ‘권위’나 사회적 ‘거물’을 보면 그를 불쌍히 여겨 그의 어릴 적 모습을 상상해 보는 버릇이 생겼다고 한다. “그러면 그의 허위의 탈은 눈같이 스러지고 생글생글 웃는 장난꾸러기로 다시 환원하는 것이다.” 권력에 취해 부끄러움을 잃어버린 엘리트들이 꼭 읽어야 할 글이다.

2019-09-18 3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