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2 원전 수출 거점 희망준 한·印 정상회담

[사설] 제2 원전 수출 거점 희망준 한·印 정상회담

입력 2010-01-26 00:00
업데이트 2010-01-26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도를 국빈 자격으로 방문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기존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한단계 격상하는 데에 합의했다고 한다. 자유무역협정(FTA)에 버금가는 양국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올해 발효된 것을 계기로 경제를 넘어 정치, 사회, 문화 등 전방위로 양국 협력의 지평을 넓히는 초석을 마련한 셈이다.

알려진 대로 인도는 인구 12억명, 구매력 평가기준 국내총생산(GDP) 세계 4위의 거대시장이다. 2008년까지 5년간 평균 8.4%의 고도성장을 거듭해 온 대표적 신흥 경제국이기도 하다. 지난 2000년 불과 20억달러에 불과했던 한국과 인도의 교역액은 2008년 156억달러로 8배 늘었고, 2014년 목표치를 300억달러로 잡을 정도로 매년 30% 안팎의 폭발적인 교역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도 하다. CEPA가 발효된 올해부터는 양국 간 자유무역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장기적으로 양국 모두 8억~9억달러의 실질 GDP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인도의 보다 큰 매력은 이런 당장의 경제적 효과보다 그들이 지닌 잠재력이다. 경제력을 뛰어넘는 그들의 정보기술(IT)·우주과학 분야의 기술력 및 연구성과와 한국의 하드웨어 및 자본과 결합할 경우 기대치를 웃도는 높은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본다. 더욱 주목할 점은 인도의 기반시설 확충, 그 가운데서도 원전 건설시장이다. 2020년까지 원전 20여기를 새로 지을 예정인 인도는 이제 막 원전수출국 대열에 들어선 한국에 명실상부한 세계적 원전 수출국으로 도약할 발판이 될 수 있다. 1인당 GDP가 1000달러 수준으로, 아직은 구매력에서 다소 취약한 인도 시장의 현실을 감안한다면 CEPA를 통한 민간 차원의 교역 확대도 중요하겠으나, 한 기(基)에 수억~수십억달러에 이르는 원전 건설처럼 범정부 차원의 인프라 협력을 강화하는 일이 더욱 긴요하다고 할 것이다.

여건은 좋다고 본다. 인도 역시 정치·안보·경제 분야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을 의식, 한국과의 보다 긴밀한 협력에 큰 관심을 두고 있는 상황이다. CEPA에 기반한 교역 확대와 별개로 범 정부 차원의 인프라 협력이 구현된다면 12억 인도 시장은 생각보다 빨리 한국의 블루오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10-01-26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