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재산 절반 기부하는 미국, 상속세 줄여달라는 한국

[사설] 재산 절반 기부하는 미국, 상속세 줄여달라는 한국

입력 2010-08-06 00:00
업데이트 2010-08-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억만장자 40명이 재산 절반을 기부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와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이 지난 6월 출범시킨 단체인 ‘기부약속(더 기빙 플레지)’은 어제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마이클 블럼버그 뉴욕시장, CNN 창업자 테드 터너 등이 이 일에 나섰다고 한다. 남의 나라 일이지만 참으로 아름답고 훈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재산을 기부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자는 이 운동이 불과 시작된 지 6주 만에 많은 사람들의 뜻깊은 동참을 이끌어 냈다는 데 대해 또 하나의 미국의 ‘저력’을 보는 것 같아 부럽기 짝이 없다.

세계에서 손꼽히는 부자인 게이츠와 버핏은 그동안 거액의 기부와 자선활동으로 유명하다. 아버지와 아들 뻘로 나이 차가 많은 이들이 친구가 된 것은 순전히 기부에 대한 철학이 같기 때문일 것이다. 이들은 평소 “기부는 (사회의)불평등을 해소할 좋은 방법”이라고 말해 왔다. 버핏은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이 주식을 소유한 회사의 아이스크림을 먹을 정도로 철저하고도 계산적인 자본가이다. 그렇지만 친구 게이츠가 부인과 함께 만든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선뜻 거액의 돈을 기부할 정도로 통 큰 자선가다. 버핏은 “우리는 분에 넘치는 축복을 받았고, 받은 선물을 더 잘 사용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낀다.”는 게이츠의 말에 기부로 화답한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재계 일각에서 상속세 폐지 주장을 하고 있다. 버핏 등이 회원으로 있는 ‘책임감 있는 부자들’ 모임은 상속세 폐지 반대 운동을 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상속세가 있어 문화예술계의 기부 등 기업의 사회적 윤리와 책임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상속세는 매우 공정한 세금이며 기회균등 이상을 유지하고 부유층에게 특혜를 주지 않기 위해 필요하다.”는 버핏의 말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얘기한 것은 ‘더불어 잘사는’ 사회를 만들자는 뜻일 것이다. 대기업이 이윤을 독식하지 말고 부(富)를 보다 넓게 재분배해 보자는 것은 바로 기부의 철학과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2010-08-0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