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쏟아지는 대기업 상생방안 일회성 아니길

[사설] 쏟아지는 대기업 상생방안 일회성 아니길

입력 2010-08-18 00:00
업데이트 2010-08-18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기업들이 중소 협력업체와의 상생 방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정부의 비판과 지적 뒤에 나온 것이라 찜찜한 구석이 없지 않다. 그러나 대기업 스스로도 협력업체들과의 현행 관계에 문제가 많다는 것을 인정하고, 개선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결론은 이러한 방안들이 진정성과 실효성이 있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 대기업들이 쏟아낸 상생 방안은 재탕 삼탕인 것도 많다. 정부의 눈치를 보면서 순간만 모면하려는 시늉이 많았다는 방증일 것이다. 이번만은 약속을 꼭 지켜 먹이사슬 같은 대기업-중소기업 관계를 청산해야 한다.

그제 삼성전자가 발표한 ‘7대 상생경영 실천방안’에는 진전된 내용이 담겨 있다. 상생펀드 1조원을 조성해 2, 3차 협력사까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한다. 또 핵심 원자재를 직접 구매해서 협력사에 공급하는 사급제(賜給制)를 시행하기로 했다. 원자재 가격 불안에 따른 위험을 삼성이 떠안고, 납품가 변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려는 뜻이라고 한다. 경쟁력 있는 2, 3차 협력사들을 1차 협력사로 승격시키겠다는 방안도 포함됐다. 삼성전자에는 1차 협력사가 800개, 2차 협력사가 1만여개에 이른다. 이를 모두 지원하자면 출혈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삼성이 솔선수범해야 나머지 협력사들의 상거래 질서도 바로 잡힐 수 있다고 본다.

삼성에 앞서 포스코는 원가절감액을 협력사와 나누는 ‘베니핏 셰어링’을 확대하고 2, 3차 협력사와 성과보상 혜택을 나누기로 했다. LG는 협력사와 ‘차세대 그린 신(新)사업’ 분야 공동개발에 나서고, 상생펀드 7400억원을 만들어 금융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한다. 현대·기아차는 철판 사급제를 2, 3차 협력사로 확대하기로 했으며, SK도 6000여 협력사에 금융지원과 100% 현금성 결제를 약속했다. 굴지의 대기업들이 정부의 중기(中企) 활성화 정책에 적극 호응한 것은 반가운 일이다. 중견 대기업들도 국민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고 상생을 외면해선 안 된다. 협력사와의 불공정 거래관행은 오히려 상위권보다 중위권 이하 대기업들에서 더 고질적일 것이다. 대기업의 양보와 배려,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상생은 한국경제를 선진경제로 끌어올리는 선결조건이다.
2010-08-18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