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업들, 위기가 기회임을 깨닫고 투자 나서야

[사설] 기업들, 위기가 기회임을 깨닫고 투자 나서야

입력 2012-12-04 00:00
업데이트 2012-12-0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기업들이 투자에 몸을 사리면서 곳간에 현금이 넘쳐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추세라면 기업들이 당초 계획했던 올해 투자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경우 올해 4조 1000억원이 넘는 현금이 늘었다. 지난 9월 말 현재 18조 8235억원으로 2010년 말과 비교하면 거의 2배 수준이다. 현대자동차, LG전자, 포스코 등 다른 대기업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기업들이 경기 침체 장기화에 대비해 현금을 늘려 재정을 안정시키는 것을 당연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게을리하며 안주해서는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세계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장기 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시된 신규시설투자금액은 6조 129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0.51% 줄었다. 그러나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이 있듯이 주눅들지 않고 투자를 대폭 늘리는 기업들도 있어 다행이다. LG디스플레이, 대한항공, 신세계인터내셔날, 로케트전기 등이 좋은 사례다. 이들 기업은 기존 라인을 고수익·고성장 분야에 활용하거나 미래성장동력 확보 등을 위해 신규 투자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기업가정신은 더욱 빛을 발하게 된다. 정부는 재정 건전성 문제로 재정 지출을 늘리기 쉽지 않을 게다. 가계는 1000조원에 육박하는 부채로 인해 소비 여력이 없다.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기업들마저 움츠리기만 한다면 성장도, 일자리도 먼 얘기일 수밖에 없다.

내년 세계 경제는 하방위험이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수출 주도형인 우리 경제는 L자형 침체에 빠질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미국 정치권의 재정절벽 협상은 초반부터 민주·공화당 간 힘겨루기로 난항을 보이고 있다. 북한의 로켓 발사 등 지정학적 긴장이 유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정부와 정치권은 우리 경제가 내년에도 잠재성장률을 밑돌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을 귀담아 들어야 한다. 기업들이 투자를 망설이는 것에 정치적 요인은 없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경제민주화를 추진하되, 투자 활성화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해야 한다.

2012-12-0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