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남원의 도자 산책] 파기

[장남원의 도자 산책] 파기

입력 2024-04-02 03:17
업데이트 2024-04-02 0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경기 광주시 우산리 요지 퇴적에서 수습한 백자 파편들. 장남원 제공
경기 광주시 우산리 요지 퇴적에서 수습한 백자 파편들. 장남원 제공
‘파기’(破器)란 그릇을 깬다는 뜻이다. 독일 전통 가운데는 결혼식 본식 전 파티 때 하객들이 도자기 접시나 컵 같은 것들을 들고 와서는 신혼부부가 살 집 앞에서 깨는 ‘폴터 아벤트’(Polter abend)라는 풍습이 있다.

시끌벅적한 사람들과 그릇 깨지는 소리로 닥쳐올 액운을 물리치길 염원한다. 신랑신부는 산산 조각난 그릇을 치우며 어떤 역경도 함께 이겨 내겠노라 서원한다. 긍정의 파기다.

전통적으로 도자기를 만들던 요장(窯場)에서는 구워진 완제품에 대한 검수 단계에서 ‘파기’가 이루어진다. 중국 명나라(1368~1644) 때 강서성 경덕진(景德鎭) 주산(珠山)에 ‘어기창’(御器厰)이라는 제작소를 만들어 황제만을 위한 최고 수준의 도자기를 굽도록 했다.

상등품은 선별해 황실에 보냈는데, 이때 품질이 미치지 못하는 것들은 예비용으로 보관하거나 제작장 내에 구덩이를 파고 깨뜨려 묻었다. 기술과 조형의 보안을 위해 엄격히 관리했기 때문이다.

조선에서는 15세기 후반 임금의 수라와 궁궐 연회용 음식 공급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사옹원(司饔院) 부설로 음식용 백자 제작을 위한 도자기 제조장 ‘분원’이 경기 광주군에 설치됐다. 이 같은 체제는 조선 말까지 계속됐고, 19세기 상황을 보여 주는 ‘분주원보등’(分廚院報謄)을 보면 분원에 성형(成形)을 맡은 조기장(造器匠), 흙을 정제하는 수비장(水飛匠), 문양을 그리는 화청장(畫靑匠) 등 외에 완성품 선별 작업을 맡은 파기장(破器匠)이 있었다.

분원의 재정이 걱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번조 과정에서 이물질이 융착됐거나 균열이 있는 등 정한 형태나 품질에 미치지 못할 경우 가차 없이 파기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가마터에서는 깨진 사금파리 조각들로 가득찬 거대한 폐기물 퇴적층을 마주하곤 한다.

그렇다면 ‘파기’는 분명 번조 과정에 대한 경험과 그 도자기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 맡았을 것이다. 아깝다고 쓰다듬고 머뭇거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흙과 노동, 땔감과 시간의 낭비로 인한 실수와 손실을 상쇄할 수 있다는 빠른 판단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현상을 직면하고 인정할 때 개선도 발전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2024-04-02 26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