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잡초/이춘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잡초/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06-04 00:00
업데이트 2010-06-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늦은 봄 고향에 가 가족묘를 살폈다. 잔디에 섞여 웃자란 잡초들이 눈에 거슬렸다. 준비도 안 하고 가 맨손으로 몇 개 뜯어냈다. 보기에 한결 좋았다. 내친 김에 잡초를 모두 뽑고 잘라버렸다. 묘가 산뜻해져 뿌듯했다. 그런데 작업을 한 오른 손목이 따끔거렸다. 무심코 지나쳤다.

다음날 오른 손목 주변에 붉은 반점 50여개가 솟아났다. 접촉성피부염인 풀독이었다. 보기 흉했다. 가려웠다. 쑥을 이용해 며칠간 민간요법 치료를 했으나 차도가 없었다. 5일이 지난 뒤에야 병원을 찾아 주사 맞고 처방약을 먹었다. 근무 중 졸림이 심하지만 겨우 나아간다.

풀·나무·열매는 스스로 못 움직이지만 해충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독을 지닌단다. 종족보전을 위해 성장기 때는 더 독하다. 나무들이 해충을 물리치려 뿜어낸다는 피톤치드는 일부 질환 치유 효과도 있다지만 유기농산물을 포함한 일반 식물의 인체 유해 독 함유 여부는 논란 중이다. 잡초도 정말 자기방어를 위해 독을 내뿜을까. 잡초라고 가볍게 다뤘다가 혼났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06-0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