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이 빠진 날/장세훈 논설위원

[길섶에서] 이 빠진 날/장세훈 논설위원

장세훈 기자
입력 2019-09-02 23:24
업데이트 2019-09-03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 빠진 날’에 대한 기억할 만한 경험은 크게 세 번 있다.

어릴 적 첫 이가 빠지는 날. 막연한 두려움으로 울먹였던 것 같다. 어머니는 흔들리는 배냇니를 실에 묶어 능숙하게 뽑아냈다. 할머니의 손에 이끌려 두 발을 가지런히 모으고 빠진 이를 지붕 위로 던져 까치가 물어가길 소원했다. 아픔과 뿌듯함으로 기억한다.

몇 해 전 딸아이의 첫 이가 빠졌다. 실이라는 민간요법은 치과에서 의학적 방식으로 대체됐고, 빠진 이는 지붕 대신 ‘유치 보관함’ 속에 담겼다. 첫 이 빼는 풍경 자체는 달라졌지만, 이번에도 코끝이 찡했다. 기특하고 대견한 마음이 컸다.

그리고 얼마 전 처음으로 발치를 했다. 잇몸이 녹아 내린 탓에 임플란트를 해야 한단다. 치아 관리에 소홀한 탓인데 누구를 탓하랴 만은 ‘눈물 없는 울음’과 같은 감정이 가득했다. 이를 빼는 아픔보다 그동안 모르거나 잊고 있었던 사실을 새삼 깨닫거나 알게 된 데 따른 슬픔이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임플란트를 해야 한다니 회사 선배가 대뜸 “소형차야, 중형차야?”라고 물었다. 적잖은 비용이 드는 임플란트에 이미 중형차 값을 썼다는 선배로선 소형차 값으로 막는 게 그나마 최선이란다. 현실적이어서 서글프다.

shjang@seoul.co.kr
2019-09-0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