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초등학교 2학년 여학생이 쓴 ‘아빠는 왜?’란 시가 소개되면서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고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엄마가 있어 좋다. 나를 이뻐해 주어서/ 냉장고가 있어 좋다. 나에게 먹을 것을 주어서/ 강아지가 있어 좋다. 나랑 놀아 주어서/ 아빠는 왜 있는지 모르겠다.”
두 달 전에는 계획적으로 자신의 집에 불을 질러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여동생까지 죽음으로 몰고 간 사건이 사회적으로 충격을 주었다. “아버지가 없어지면, 가정에 평화가 올 줄 알았다.”는 것이 13세 소년의 말이다. 소년은 대한민국 최고 춤꾼이 되기를 희망했지만, 아버지는 춤꾼이 아니라 판사나 검사가 되기를 기대했던 모양이다.
오래 전에 유행해서 모두 알고 있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아이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할아버지의 경제력, 엄마의 정보력, 아빠의 무관심이란다.
초등학생 여학생이 쓴 시를 읽고 끔찍한 방화사건을 접했을 때, 아버지는 씁쓸함을 넘어 우울해진다. 그리고 자신을 돌아본다. 나는 지금 어떤 아버지인가, 혹은 아이들은 나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하는 서글픈 질문을 던진다. 아버지가 미워 집에 불을 지른 소년의 말이나, 냉장고나 강아지보다도 존재감이 없는 아버지를 그려낸 소녀의 시는 우리 가정의 대다수 아버지를 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마도 대부분 가정에서 아버지는 자신의 위치를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버지의 존재감이 조금씩 약해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우기도 어렵다.
아이들은 대개 초등학교부터 엄마 손에 이끌려 다닌다. 학교수업을 마치면 엄마가 짜놓은 계획에 따라 학원에 가고, 피아노도 치고, 태권도 도장에도 간다. 엄마도 한없이 바쁘다. 직장에 다니는 엄마는 엄마대로, 전업주부인 엄마는 엄마대로 아이들의 스케줄을 짜고 정보를 수집하느라 정신없다. 직장생활하는 엄마들은 아이를 좀 더 챙겨주지 못한다는 마음에 늘 안타까워하고, 전업주부 엄마들은 아이 교육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책임감에 억눌린다. 아버지는 늘 주변에 위치한다. 나는 지금 아이들이 편모슬하에서 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 때가 있다.
아버지가 귀가해도 아이들은 여전히 학원에서 공부 중이거나 집에 있어도 인터넷을 하거나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릴 뿐이다. 일찍 들어온 날 함께 저녁식사하는 것, 그리고 드라마 한편 보는 것이 함께하는 대부분의 일이다. 아버지의 존재감을 보여줄 시간이 너무 적다. 예전에 인기 있었던 드라마 ‘전원일기’에는 양촌리 김 회장(최불암 분)이 나온다. 김 회장이 안방에 앉아 있는 자리는 항상 아랫목 가운데였다. 아버지의 존재감은 아랫목 가운데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표현되었다. 지금 돌아보면, 그 존재감은 어쩌면 드라마 속에서나 가능한 것인지 모른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극복해야 하는 것은 아버지다. 나는 아이들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것이 성장에서 중요한 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대학생이 되거나 이십대 중반이 되어 초식남이나 건어물녀가 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권의 약화는 이십대들에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지 못하게 만든다. 어쩌면 자녀들이 극복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지도 모른다.
‘전원일기’의 아버지 김 회장은 이제 드라마에서조차 없다. 지금 드라마 속의 아버지들은 대체로 존재감이 없거나 권위를 강하게 표현하는 가부장적 인물일 뿐이다. 이 아버지의 표상은 대다수 아버지가 바라는 모습이 아니지만, 어쩌면 현실 속의 아버지는 이 둘 중 하나인지도 모른다.
우리의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그저 계시다는 이유만으로 존재감을 발휘했던 시대는 아닌 듯하다. 서글픈 일이지만 세상 탓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연말이 다가온다. 세상의 아버지들이 이런저런 일들로 바쁘게 보내야 하는 시간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조금 중요한 일들은 뒤로 미루고, 정말 중요한 일에 시간을 써야 할 것 같다. ‘아빠가 있어 좋다/ 아빠는 나에게 꿈이어서’라는 자녀의 시를 기대하고자 한다면.
주창윤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
오래 전에 유행해서 모두 알고 있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아이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할아버지의 경제력, 엄마의 정보력, 아빠의 무관심이란다.
초등학생 여학생이 쓴 시를 읽고 끔찍한 방화사건을 접했을 때, 아버지는 씁쓸함을 넘어 우울해진다. 그리고 자신을 돌아본다. 나는 지금 어떤 아버지인가, 혹은 아이들은 나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하는 서글픈 질문을 던진다. 아버지가 미워 집에 불을 지른 소년의 말이나, 냉장고나 강아지보다도 존재감이 없는 아버지를 그려낸 소녀의 시는 우리 가정의 대다수 아버지를 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마도 대부분 가정에서 아버지는 자신의 위치를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버지의 존재감이 조금씩 약해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우기도 어렵다.
아이들은 대개 초등학교부터 엄마 손에 이끌려 다닌다. 학교수업을 마치면 엄마가 짜놓은 계획에 따라 학원에 가고, 피아노도 치고, 태권도 도장에도 간다. 엄마도 한없이 바쁘다. 직장에 다니는 엄마는 엄마대로, 전업주부인 엄마는 엄마대로 아이들의 스케줄을 짜고 정보를 수집하느라 정신없다. 직장생활하는 엄마들은 아이를 좀 더 챙겨주지 못한다는 마음에 늘 안타까워하고, 전업주부 엄마들은 아이 교육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책임감에 억눌린다. 아버지는 늘 주변에 위치한다. 나는 지금 아이들이 편모슬하에서 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 때가 있다.
아버지가 귀가해도 아이들은 여전히 학원에서 공부 중이거나 집에 있어도 인터넷을 하거나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릴 뿐이다. 일찍 들어온 날 함께 저녁식사하는 것, 그리고 드라마 한편 보는 것이 함께하는 대부분의 일이다. 아버지의 존재감을 보여줄 시간이 너무 적다. 예전에 인기 있었던 드라마 ‘전원일기’에는 양촌리 김 회장(최불암 분)이 나온다. 김 회장이 안방에 앉아 있는 자리는 항상 아랫목 가운데였다. 아버지의 존재감은 아랫목 가운데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표현되었다. 지금 돌아보면, 그 존재감은 어쩌면 드라마 속에서나 가능한 것인지 모른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극복해야 하는 것은 아버지다. 나는 아이들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것이 성장에서 중요한 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대학생이 되거나 이십대 중반이 되어 초식남이나 건어물녀가 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권의 약화는 이십대들에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지 못하게 만든다. 어쩌면 자녀들이 극복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지도 모른다.
‘전원일기’의 아버지 김 회장은 이제 드라마에서조차 없다. 지금 드라마 속의 아버지들은 대체로 존재감이 없거나 권위를 강하게 표현하는 가부장적 인물일 뿐이다. 이 아버지의 표상은 대다수 아버지가 바라는 모습이 아니지만, 어쩌면 현실 속의 아버지는 이 둘 중 하나인지도 모른다.
우리의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그저 계시다는 이유만으로 존재감을 발휘했던 시대는 아닌 듯하다. 서글픈 일이지만 세상 탓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연말이 다가온다. 세상의 아버지들이 이런저런 일들로 바쁘게 보내야 하는 시간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조금 중요한 일들은 뒤로 미루고, 정말 중요한 일에 시간을 써야 할 것 같다. ‘아빠가 있어 좋다/ 아빠는 나에게 꿈이어서’라는 자녀의 시를 기대하고자 한다면.
2010-12-09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