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성숙해야 이긴다/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열린세상] 성숙해야 이긴다/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입력 2012-02-20 00:00
업데이트 2012-02-20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포츠에서 인생을 배우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지난달 29일 열린 2012 호주호픈 테니스 대회의 남자 단식 결승전 경기는 특히 그랬다. 세계 남자테니스의 숙적인 세르비아의 노박 조코비치(25)와 스페인의 라파엘 나달(26)이 장장 5시간 50분 동안 최선을 다해 펼친 이날의 경기는 당연히 세계 테니스 역사에 남을 만한 ‘명품 경기’가 되고도 남았다. 경기 내내 두 선수는 용호상박의 뛰어난 테니스 기량을 보여줘 테니스 팬들을 긴장하게 하고, 감탄하게 만들었다.

이미지 확대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그러나 진정 사람들을 감동하게 만든 것은 젊다면 젊고, 어리다면 어릴 수 있는 두 선수가 보여준 정신적인 성숙미였을 것이다. 스포츠 세계조차도 정신적인 성숙이 최고의 선수를 만들고, 결국은 성공에 이르게 하는구나 하는 깨달음을 준다.

다른 일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스포츠에서도 실수했을 때, 위기가 찾아 왔을 때, 역경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궁극적인 성공의 열쇠가 된다. 남자테니스 경기를 보다 보면 스스로 실수했을 때 선수가 욕을 해대거나 심지어 라켓을 던지고 내리쳐 망가뜨리는 장면을 가끔 목격하게 된다.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실수, 그리고 이미 저질러진 실수를 놓고 분노하고 자책하는 감정을 어찌할지 몰라 터뜨려 버리는 것이다. 이런 선수들은 스스로를 지나치게 나무라는 데 몰두한 나머지 실수를 연발하게 되고, 결국은 십중팔구 경기를 망치는 패배자가 되기 일쑤이다. 반면에 승리하는 선수, 성공하는 선수의 실수 관리는 남다르다.

세계 여자 피겨계의 여왕, 김연아 선수는 실수했을 때의 마음 관리와 표정 관리에 성공함으로써 완벽에 가까운 연기를 펼칠 수 있었다. 우리가 진정 김연아 선수를 사랑하고 대견해하는 것은 그녀의 불굴의 성숙한 정신과 긍정적인 태도일 것이다. 얼마 전까지 세계 남자테니스 최고 선수였던 스위스의 로저 페더러(30)는 지고 있을 때, 실수했을 때에도 침착한 표정과 좋은 매너를 유지하기로 유명하다. 경기가 잘 안 풀릴 때 내면의 복잡한 심사를 관리하는 법을 터득한 선수들은 결국은 역경을 딛고 경기를 승리로 이끌어낸다. 승리하는 선수들은 실수했을 때는 견뎌내고, 잘했을 때는 기합소리로 자기 격려를 한다. 이번에 호주오픈에서 우승한 조코비치는 어떤 인터뷰에서 “큰 경기를 치르면서 정신적으로 성숙해질 수 있었고, 그러한 성숙함이 경기를 잘하게 만든다.”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패배한 나달의 언어도 예사롭지 않다. 나달은 패자가 됐지만 눈물을 흘리지 않았다. 대신 경기 후 이렇게 얘기했다. “아마도 내가 당한 최고의 패배일 것이다. 비록 패배하기는 했지만 나 역시 조코비치를 상대로 정신적인 측면에서 결코 밀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어 기쁘다. 더불어 위대한 경기였다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경기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진심으로 즐겼다.” 스물여섯살의 테니스 선수가 이 정도의 성숙한 언어를 구사하고 있음이 존경스럽기까지 하다.

주변에서 소위 명문대 나오고, 정치 능력과 경제 능력·언어 능력도 갖춘 분들이 정신적인 성숙과 거리가 먼 언행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일하는 데 너무 바쁜 나머지 자기 성찰의 시간을 충분히 갖지 못한 결과일 것이다. 이미 충분히 똑똑한 사람이 자기 존재를 드러내 보려고 자랑과 교만을 부리기도 하고, 존재를 알아주지 않는 사람들을 향해 질투와 분노의 언어를 퍼붓기도 한다. 실수와 실언 또는 잘못했을 때, 그래서 역경에 빠졌을 때 그것을 견뎌내며 관리하지 못하고, 좌절하고 분노하다가 일을 더욱 망치기 일쑤다.

정신적 성숙은 결국 불리한 상황, 역경을 견뎌내고 극복하는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적 성숙은 어려움에 처한 자신을 책망하는 대신, 사랑으로 감싸는 체험적 자기 사랑과 성찰 과정을 통해 이룩된다. 성숙한 사람은 자기 사랑을 할 줄 알고, 그 힘으로 이웃 사랑, 나아가 사회 사랑을 실천할 줄 안다. 선거철이다. 다른 사람들을 위해 사랑 실천을 하겠다는 정치후보들이 대거 나서고 있다. 혼탁한 정치언어도 난무한다. 지난한 일이긴 하지만 좀 더 성숙한 인간의 향기를 풍기는 사람을 가려내는 좋은 선거가 됐으면 한다.

2012-02-20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