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팔 없는 美여성, 태권도 검은띠 도전

양팔 없는 美여성, 태권도 검은띠 도전

입력 2010-05-11 00:00
업데이트 2010-05-11 1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셰일라 레지위츠는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법적구제를 도와주는 일을 하고 있다. 열아홉살에 집에서 나와 독립을 한 뒤 스물셋에 자동차 운전면허증을 땄고, 3년전부터는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한,특별할 것 없는 서른 두살의 ‘평범한’ 독신녀다. 양팔이 없다는 것 빼고는.

 셰일라는 ‘선천성 혈소판 감소증’으로 양팔이 없이 태어났다. 어깨 바로 밑에 손이 달려 있었다. 슬개골(무릎을 이루는 뼈)도 없어 걷지도 못했다. 어릴 때 여러번 수술을 받았고 중학교까지는 다리에 보조기를 차야 겨우 발걸음을 뗄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
다음달 태권도 검은띠 획득을 노리는 셰일라 레지위츠.  AP통신
다음달 태권도 검은띠 획득을 노리는 셰일라 레지위츠.
 AP통신
이미지 확대
다음달 태권도 검은띠 획득을 노리는 셰일라 레지위츠.  AP통신
다음달 태권도 검은띠 획득을 노리는 셰일라 레지위츠.
 AP통신
이미지 확대
다음달 태권도 검은띠 획득을 노리는 셰일라 레지위츠.  AP통신
다음달 태권도 검은띠 획득을 노리는 셰일라 레지위츠.
 AP통신


 양팔이 없고 제대로 걷지도 못하는 소녀가 세상을 헤쳐 나가기는 힘이 부쳤다. 학교 친구들은 셰일라의 ‘특별함’을 놀려대고 비아냥거렸다. 하지만 그녀의 가족이 방패막이 됐고, 언제나 “넌 할 수 있어.”라며 용기를 북돋웠다. 셰일라 스스로도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자세로 살았다. 19세 되던 해 부모로부터 독립했고, 23세때는 발로 운전하는 면허증도 땄다.

 

 최근에는 ‘또다른 기적’을 만들어 내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태권도 ‘검은띠’(단증) 도전이다.

 셰일라는 3년전 심리치료 차 도장을 찾았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마음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였다. 거의 도장에서 살다시피 해 도장이 집처럼 여겨졌고 사부와 동료들은 또다른 가족이 됐다. 열심히 연습한 결과 셰일라는 다음달 검은띠를 따기 위한 시험을 본다.



 그녀의 실력은 현지 언론 ‘살렘뉴스’의 기사 동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권 지르기의 거리가 좀 짧긴 하지만, 옆차기의 각도 제법 예리하고 송판을 깨는 파괴력도 썩 괜찮다.

 그가 조금 애먹었던 것은 ‘무기 시험.’ 이 도장에서 승단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무기를 다뤄야 한다. 팔이 없는 그에겐 무기를 잡는 것조차 버거웠기 때문이다. 결국 규정을 검토한 결과 손으로 잡거나 입으로 물 수도 있는 쌍절곤으로 시험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어떤 게 된다·안된다를 따지기 전에 지금 있는 상태에서 시도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셰일라의 이 말은 양팔과 다리가 멀쩡한데도 스스로 ‘주저앉은’ 사람들에게 경종이 되기 충분하다.

인터넷서울신문 최영훈기자 taij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