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글루카곤, 혀의 단맛 조절 가능”

“호르몬 글루카곤, 혀의 단맛 조절 가능”

입력 2010-06-19 00:00
업데이트 2010-06-19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하나인 글루카곤이 혀의 단맛을 느끼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단맛을 인위적으로 덜 느끼거나 더 느끼게 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미국 메릴랜드 대학 의과대학 스티븐 멍거 신경생물학과 교수는 당분과 단맛을 감지하는 혀의 미각수용체세포에 글루카곤 수용체가 존재하며 이를 차단할 경우 단맛에 대한 민감도가 줄어든다고 밝혔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멍거 교수는 쥐에 특별한 약물을 사용해 미각세포의 글루카곤 수용체를 차단한 결과 단것에 대한 감각이 약해지면서 단물을 주어도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글루카곤의 활동을 조절하는 식품첨가제 개발을 통해 당분이 함유된 식품을 더 달게 혹은 덜 달게 느끼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치료목적으로 지나치게 먹거나 너무 먹지 않는 환자에게 이러한 식품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연구결과에 대해 앨버트 리스 메릴랜드 대학 총장서리는 당뇨병, 비만, 대사장애 환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멍거 교수의 연구결과는 미국실험생물학회연합회(FACEB) 저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0-06-19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