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포스트 후진타오’ 시진핑] 軍·원로·태자당 폭넓은 지지… 中은 안정을 택했 다

[中 ‘포스트 후진타오’ 시진핑] 軍·원로·태자당 폭넓은 지지… 中은 안정을 택했 다

입력 2010-10-19 00:00
업데이트 2010-10-19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는 누구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예상대로 중앙군사위 제1부주석 자리를 차지하면서 중국의 후계구도가 사실상 확정됐다. 이변이 없는 한 2012년 제18기 전국대표대회에서 시 부주석은 마오쩌둥, 덩샤오핑, 장쩌민, 그리고 현 후진타오에 이어 당 총서기직에 오르며 중국의 5세대 지도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2007년 제17기 전국대표대회 이후 3년여간 그를 흔들었던 리커창(李克强) 부총리와의 권력투쟁설도 종지부를 찍었다. 리 부총리는 원자바오 총리의 자리를 이어받을 것이 분명하다.

이미지 확대
이명박(오른쪽)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청와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명박(오른쪽)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청와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미지 확대
지난 5월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북한 김정일(왼쪽) 국방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부주석. 연합뉴스
지난 5월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북한 김정일(왼쪽) 국방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부주석.
연합뉴스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왜 5세대 지도자로 태자당(중국 당·정·군 혁명원로들의 자녀그룹)의 맹주인 시 부주석을 선출했을까. 연령이나 학력, 인물, 경력 등에서 리 부총리와 시 부주석의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는다. 오히려 베이징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리 부총리가 장관급 경력에서는 시 부주석보다 6년이나 빠르다.

게다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의 제1주자인 리 부총리는 퇀파이(團派·공청단 출신그룹)의 대부이자 차세대 지도자 선정에 힘을 발휘할 수 있는, 후 주석이라는 든든한 뒷배까지 있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중국공산당사(史)에 밝은 베이징의 전문가들은 시 부주석이 갖고 있는 ‘안정감’에 방점을 찍었다. 공산당 원로 시중쉰(習仲勛)의 아들로서 그가 지도자가 되면 적어도 중국 공산당의 무덤을 파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는 것이다. 10대 후반 ‘지식청년’으로 자원해 산시(陝西)성과 허베이성의 산골마을에서 기꺼이 노동하고, 푸젠성과 저장성, 상하이 등 동남 연해의 발달된 지역을 관리한 정치경력도 빼놓을 수 없는 대목이다.

무엇보다도 인민해방군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리 부총리와는 비교할 수 없는 우위를 지니고 있다는 평이다. 실제 시 부주석은 청년 시절 국방부장 겅뱌오(耿彪)의 비서를 지냈고, 인민해방군 현역 소장인 국민가수 펑리위안(彭麗媛)의 남편이다.

17기 전국대표대회 때 자신이 물러나면서 후 주석에게 당시 상하이시 당서기에 오른 지 6개월밖에 안 된 시 부주석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천거했던 쩡칭훙(曾慶紅) 전 국가부주석은 “각 방면에서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이라고 그를 평했다. 태자당뿐 아니라 당내 원로, 아울러 당내 자유파까지 모두 시 부주석이 그들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데 동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반도 문제에도 관심이 많고, 밝아 향후 남북관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 부주석은 2008년 5월 취임 후 첫 번째로 평양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 등 북한 지도부와 상견례를 했고 지난해 12월에는 한국을 방문했다. 방한 기간 이명박 대통령뿐 아니라 정·재계 최고위 인사들을 모두 만났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10-19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