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강의실 풍경 바꾼 ‘손 안의 기기’

美 강의실 풍경 바꾼 ‘손 안의 기기’

입력 2010-11-17 00:00
업데이트 2010-11-1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업 중 교수 질문에 학생은 ‘클리커’로 응답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조직 행동론’을 강의하는 빌 화이트 교수는 학생들을 등지고 앉아 파워포인트로 강의를 하면서도 학생들이 얼마나 강의에 집중하고 있는지 훤히 알 수 있다.

●이번 가을학기 사용자 50만명 넘어

수시로 던지는 화이트 교수의 질문에 70여명의 학생들이 한꺼번에 ‘클리커’를 통해 답을 하고, 이를 화이트 교수가 한눈에 받아보면서 자기 강의가 얼마나 먹히고(?) 있는지 꿸 수 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15일(현지시간) ‘손안의 기기로 학생들에게 도전하는 교수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2005년 처음 등장한 클리커가 대학 강의시스템 자체를 바꾸고 있다.”고 전했다. NYT는 “클리커는 텔레비전 리모컨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재미는 훨씬 없다.”면서 “학생들이 강의실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강의가 끝날 때까지 클리커는 그들을 계속 시험에 들게 한다.”고 설명했다.

화이트 교수가 화면을 통해 객관식 질문을 제시하면 학생들은 적외선 통신 장치를 갖춘 클리커의 버튼을 눌러 의사를 표시한다. 컴퓨터는 곧바로 모니터에 학생들이 어떤 답을 보내 왔는지를 표시한다. 출석체크는 물론 종이쪽지를 나눠 주지 않고도 시험을 즉석에서 볼 수 있고, 교수들은 학생들이 강의를 얼마나 이해했는지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화이트 교수는 학점의 20% 정도를 클리커 퀴즈점수로 평가한다. 클리커를 강의에 사용하는 교수는 노스웨스턴대에서만 36명에 이르며 하버드대, 애리조나대, 오하이오주립대 등 다른 대학에서도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다. NYT는 “이번 가을학기에 클리커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50만명이 넘는다.”고 전했다.

●“강의 집중도 높이는 긍정적 감시자”

노스웨스턴대 학생들은 클리커를 ‘긍정적인 감시자’(빅브러더)로 평가하고 있다. 대학생 재스민 모리스는 “클리커는 강의에 훨씬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면서 “졸거나 강의를 외면하는 학생들에게 학생의 자세를 끊임없이 일깨워 주는 기기”라고 평가했다.

클리커를 고안한 티나 룩스는 “2006년 이후 매년 60~95%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 하나의 클리커를 별도의 조작 없이 여러 강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1-17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