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 쓰면 해고’ 中기업에 누리꾼 발끈

’사투리 쓰면 해고’ 中기업에 누리꾼 발끈

입력 2012-05-18 00:00
업데이트 2012-05-18 15: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쑤저우(蘇州)에 있는 한 기업이 직원들에게 사내에서 사투리(방언)를 절대로 쓰지 말도록 강요해 누리꾼의 비난을 사고 있다고 봉황망(鳳凰網) 등 현지 인터넷 매체들이 18일 보도했다.

쑤저우에서 직장 생활을 하는 한 누리꾼은 최근 자신의 회사에 붙은 공고문을 사진으로 찍어 인터넷에 올렸다.

회사 측은 공고문에서 ‘동료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해 출근 이후 사투리 사용을 금하며 위반자는 경중에 따라 경고 및 근로계약 해지 조치를 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공고문을 올린 누리꾼은 “실제로 점심시간에 한 동료가 복도에서 청소 아줌마와 사투리로 몇 마디를 나눴다가 회사 측이 모든 직원에게 이 사실을 통보하고 위반자가 또 발생하면 바로 해고하겠다는 경고 메일을 보냈다”고 털어놨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누리꾼들은 해당 기업의 규정이 지나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누리꾼은 “사투리는 전통문화 중 하나인데 회사에서 표준어를 쓰도록 요구할 수는 있지만, 해고까지 들먹이는 것은 너무하다”고 비판했다.

변호사들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회사가 사투리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자체 규범이지 직원 해고의 법적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중국 사회과학원 방언연구소가 발간한 중국언어지도집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한어(漢語)와 129개의 소수민족 언어 등 모두 130개의 언어가 쓰이고 있다.

전체 인구의 95%인 12억6천만 명이 한어를 사용하며 이 가운데 67%인 6억6천만 명이 표준어인 ‘푸퉁화(普通話)’를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계에서는 당국이 표준어 보급에 적극 나서면서 방언 대신 푸퉁화를 사용하는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