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몸안에서 성체세포→줄기세포 전환 성공

쥐 몸안에서 성체세포→줄기세포 전환 성공

입력 2013-09-12 00:00
업데이트 2013-09-12 09: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페인 연구팀이 살아있는 쥐의 몸 안에서 성체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전환시키는 데 사상 처음으로 성공했다.

스페인 국립암연구소의 마누엘 세라노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살아있는 쥐에 주입한 4가지 유전자(c-Myc, Klf4, Oct4, Sox2)를 항생제의 투입으로 발현시켜 신장, 위, 장, 췌장에 있는 성체세포를 iPS로 환원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영국의 텔레그래프와 BBC뉴스 인터넷판 등이 11일 보도했다.

iPS가 시험관이 아닌 살아있는 동물의 생체조직 안에서 만들어진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 4가지 유전자는 배아줄기세포에서만 활성화되는 유전자로 일본 교토 대학의 야마나카 신야 박사가 2007년 처음으로 시험관에서 쥐의 피부세포에 주입해 iPS로 역분화시키는 데 성공한 바 있다.

iPS는 어떤 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는 만능세포인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똑같은 능력을 지닌 원시세포이다.

연구진은 먼저 쥐들에 항생제 독시사이클린에 노출되면 발현되도록 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된 이 4가지 유전자를 무해한 바이러스에 실어 주입했다.

이어 독시사이클린이 섞인 물을 쥐들에 먹게하자 이 4가지 유전자가 활성화되면서 신장, 위, 장, 췌장 등 여러 조직에 iPS가 형성되어 자라기 시작했다.

iPS는 상당수가 기형종(畸形腫)인 테라토마를 형성했다. 배아줄기세포와 시험관에서 만든 iPS도 살아있는 동물조직에 주입하면 테라토마가 형성된다.

그러나 살아있는 쥐의 생체조직에서 생성된 iPS는 시험관에서 만들어진 것보다 배아줄기세포와의 유사성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 iPS는 시험관 iPS나 배아줄기세포보다 더 많은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는 살아있는 포유동물에서 만들어진 iPS는 분화의 다양성 즉 가소성(plasticity)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다.

세라노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동물의 살아있는 조직에서 직접 iPS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한 것이라면서 앞으로 최소한 5년 후에는 손상된 심장, 간, 뇌 등을 이 방법으로 재생하는 임상시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이 실험을 재생의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준 것으로 평가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 최신호(9월11일자)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