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인권·핵 문제에 식량구호도 중단 위기”

“北 인권·핵 문제에 식량구호도 중단 위기”

입력 2014-04-26 00:00
업데이트 2014-04-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WFP “북한 기부 꺼리는 경우 많아 재정난”…6월이 고비

북한의 인권탄압 및 핵 문제가 격화하면서 북한 식량구호에 대한 국제 사회의 기부가 대거 줄어 큰 지원 차질이 예상된다고 세계식량계획(WFP)이 경고했다.

AP통신이 입수한 WFP 내부 보고서 초안에 따르면 WFP는 현재 재정난 탓에 6월을 넘어서는 북한 주민을 위한 주요 식량 생산을 사실상 중단해야 할 상태다.

북한 주민을 위한 고영양 비스킷을 생산하는 WFP의 현지 공장 7곳 중 5곳은 지난달 폐쇄됐다.

WFP는 이미 북한 농촌 지역의 학생 50만여 명에 대해 식량 지원을 중단했고 다른 100만여 명에 대해서도 추가로 곧 지원을 끊어야 할 위기에 처해 있다.

WFP는 애초 작년 북한의 어린이와 임산부 240만 명에게 식량을 지원하는 사업안을 짰으나 기금 부족 탓에 사업 지원 대상을 163만 명으로 줄였다.

디르크 슈테겐 WFP 평양사무소장은 “뜨거운 돌 위에서 물 한 방울을 올려놓은 것처럼 재정 상태가 위태위태하다”며 “매달 근근이 사업계획을 짠다”고 했다.

재정난은 북한의 반(反)인권 문제와 핵개발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아지면서 국제 사회가 북한에 기부를 꺼리며 불거졌다.

특히 WFP 구호 사업 예산의 60%를 차지하던 미국과 한국 등의 정부 지원금은 북핵문제가 본격화한 2008년 이후 모두 끊겼다.

미국은 작년 2월 북한에 24만t의 식량 지원을 약속했으나 두 달 뒤 북한이 미사일 발사 도발을 감행하면서 지원안이 무산됐다.

대북 교류단체 ‘조선 익스체인지’의 안드레이 아브라미안 대표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변화가 느리게 나타나는 곳으로 미얀마처럼 긍정적 변화가 빨리 일어나는 국가보다 기부금을 모으기가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또 국제구호단체 직원의 거동, 거주지, 지원 감시활동에 대해서도 까다로운 제한을 고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호 지원에 더 개방적인 다른 국가로 국제 사회의 기부금이 떠나간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시리아 등 현재 WFP가 꼽은 가장 심각한 기아 위기국에 속해 있지는 않지만 식량부족이 여전히 큰 문제다. WFP는 북한 어린이 3분의 1이 영양실조로 성장 지체를 겪고 있고 5분의 1은 저체중 상태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