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유일 반대 위원 “연준, 90년대 일본과 똑같은 실수한다”

FOMC 유일 반대 위원 “연준, 90년대 일본과 똑같은 실수한다”

입력 2014-11-02 00:00
업데이트 2014-11-02 1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체를라코타 “인플레 목표치 신뢰 훼손” 경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동에서 양적완화 종료에 유일하게 반대한 나라야나 코체를라코타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장은 “연준이 90년대의 일본은행과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코체를라코타는 파이낸셜타임스(FT) 주말판 회견에서 “연준이 인플레 목표치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는 조치를 해야 했다”면서 “채권 매입 규모를 월 150억 달러로 놔두거나 아니면 제로 금리를 1∼2년 더 유지할 것임을 밝혔어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주요국 중앙은행이 예외 없이 디플레를 우려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일본이 과거에 그랬고, 지금은 유로 지역이 (특히) 흔들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코체를라코타는 실질 인플레가 너무 오랜 기간 낮은 수준이며, 채권시장의 인플레 기대감이 미약함도 걱정스럽다면서 “큰 배가 항로를 바꾸려면 시간이 필요한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의 2% 인플레 목표치가 궁극적으로는 달성되겠지만, 4∼5년이 걸린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반문하면서 저조한 인플레 기대감이 인플레 자체를 위축시키는 부정적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경고했다.

FT는 코체를라코타가 매파 성향에서 비둘기파 쪽으로 급선회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29일의 FOMC 회동에서 월 150억 달러로 줄어든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완전 종료하는 방안 등에 유일하게 반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