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싱크탱크 CSIS,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 물의

미 싱크탱크 CSIS,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 물의

입력 2014-11-13 00:00
업데이트 2014-11-13 0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양분쟁 동향 동영상서…지일파 전문가 주관

미국 워싱턴의 대표적 싱크탱크의 하나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12일(현지시간) 공개 세미나에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해 물의를 빚고 있다.

CSIS는 이날 오전 개최한 ‘2015 글로벌 전망’ 세미나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해양분쟁 동향을 소개하는 온라인 사이트인 ‘아시아 해양 투명성 이니셔티브’(AMTI·http://amti.csis.org)를 소개하면서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했다.

CSIS 측이 이날 청중들에게 공개한 동영상에는 독도를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와 함께 분쟁지역을 뜻하는 붉은색으로 표기한 지도를 실었다.

또 ‘일본과 한국이 분쟁의 섬을 놓고 공방을 주고받고 있다’는 기사를 독도 전경 사진과 함께 실었고, 바로 옆 지도에는 독도가 분쟁지역임을 암시하는 표식을 해놓았다.

한 한국계 청중은 “독도를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지도와 사진 등을 통해 교묘하게 독도를 분쟁지역인 것처럼 느끼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독도가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국제법적으로 한국 고유의 영토이며 분쟁지역이 아니다’라는 우리 정부의 입장과 정면 배치되는 것이다.

이번 온라인 사이트 제작과 동영상은 CSIS의 일본실(석좌 마이클 그린 박사)이 주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워싱턴 조야에서 국제해양법 등을 앞세워 독도를 국제법적 분쟁지역으로 만들려는 이른바 ‘분쟁지역화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번 동영상도 이 같은 전략의 일환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현재 일본은 A급 전범 용의자 출신인 사사가와 료이치(笹川良一)가 설립한 사사카와 평화재단 등을 통해 일본 관련 세미나와 콘퍼런스를 직접 주관하거나 후원하는데, 막대한 돈을 쏟아부으면서 미국 내에서 친일 여론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미국 의회조사국(CRS)은 최근 펴낸 한·일관계 보고서(6.24)와 미·일관계 보고서(9.24)에서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라고 표기하면서 괄호안에 독도/다케시마(Dokdo/Takeshima Islets), 또는 다케시마/독도(Dokdo/Takeshima Islets)를 병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독도와 다케시마를 병기함으로써 독도가 분쟁지역인 것과 같은 인상을 주고 있는 것이어서 외교적으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