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도 가임 연령 있다”

“남성도 가임 연령 있다”

입력 2017-07-03 09:40
업데이트 2017-07-03 09: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성도 여성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가면서 가임 능력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컬센터(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산부인과 전문의 로라 다지 박사 연구팀이 2000~2014년 사이에 보스턴 지역 불임 클리닉에서 진행된 총 1만9천 건의 불임 치료 사이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 인터넷판이 2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불임 치료를 받는 여성과 배우자를 ▲30세 이하 ▲30~35세 ▲35~40세 ▲40~42세 등 4그룹으로 나누고 나이가 출산 성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봤다.

예상대로 40~42세 여성이 배우자의 나이에 상관없이 출산 성공률이 가장 낮았다.

그러나 여성이 40세 이하인 경우 배우자의 나이가 출산 성공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0세 이하 여성은 배우자의 나이가 30~35세일 때 출산 성공률이 73%로 꽤 높았다. 그러나 배우자의 나이가 40~42세 일 땐 출산 성공률이 46%로 뚝 떨어졌다.

이는 남성의 가임 능력도 생리학적 시계가 작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다지 박사는 설명했다.

여성이 배우자와 나이가 같을 땐 배우자의 나이가 임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배우자의 나이가 여성보다 적을 땐 임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35~40세이고 배우자가 30~35세일 땐 임신 성공률이 54%인데 배우자의 나이가 30세 이하로 내려가면 임신 성공률은 70%로 올라갔다.

전체적으로 30~35세 여성의 임신 성공률은 남편이 같은 연령대일 땐 70%, 배우자가 나이가 더 많을 땐 64%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해 영국 사우샘프턴대학 산부인과 전문의 닉 매클론 박사는 가임 능력은 여성의 나이만이 문제가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남성의 가임 능력이 나이를 먹으면서 줄어드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다.

여성은 평생 쓸 난자를 가지고 태어난다. 나이를 먹으면서 난자들에 유전자 변이가 발생한다. 나이 든 여성의 불임 원인은 염색체 이상인 경우가 많다.

남성은 나이가 들면서 정자의 질이 나빠진다. 따라서 난임과 유산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연구결과는 3일부터 제네바에서 개막되는 유럽 인간생식-태생학학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