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경호텔 외장 유리 설치 전과 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27/SSI_20211227072027_O2.jpg)
![류경호텔 외장 유리 설치 전과 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27/SSI_20211227072027.jpg)
류경호텔 외장 유리 설치 전과 후
2000년 8월 공사가 중단됐을 때 류경호텔 모습(왼쪽)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이 2009년 8월 26일부터 29일까지 평양 방문 중에 촬영한 초고층 류경호텔(오른쪽).
25일(현지시간) 영국의 데일리메일은 많은 비용을 들여 한 도시의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터무니 없는 유지 비용과 낮은 실용성으로 악명을 떨치게 된 전 세계의 건물들을 선정했다.
매체가 선정한 건물들 중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국회의사당’ ▲스페인 베니돔의 ‘인템포 아파트’(Intempo apartments) ▲캐나다 몬트리올의 ‘올림픽 경기장’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루스키 섬 다리’ ▲중국 둥관의 ‘뉴 사우스 차이나 몰’ 등과 함께 ▲북한 평양의 ‘류경호텔’이 꼽혔다.
매체는 류경호텔에 대해 “105층 모두 비어 있는 이 건물은 ‘세계에서 가장 높고, 텅텅 비어 있는’ 건물일 것”이라며 “또 피라미드 모양의 구조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한 곳’에 있다는 이유로 유명하다”고 설명했다.
류경호텔은 한국과의 체제 경쟁 가운데 1987년 착공해 당초 2년 만인 1989년에 맞춰 개관할 예정이었지만 이러한 기대는 크게 어긋나버렸다.
류경호텔 건설이 국가 재정에 커다란 부담이 되자 공사대금이 밀렸고, 결국 외부 골조 공사만 완료된 채 내부 인테리어 공사를 하지 못해 공사가 중단됐다. 무리한 공사 강행으로 부실 공사까지 겹쳤다.
![평양 류경호텔의 낮과 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27/SSI_20211227071633_O2.jpg)
![평양 류경호텔의 낮과 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27/SSI_20211227071633.jpg)
평양 류경호텔의 낮과 밤
평양 류경호텔 전경. 왼쪽은 2018년 4월 3일 국내 사진공동취재단이 촬영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북한의 대외선전용 매체인 ‘조선의 오늘’이 같은 해 6월 23일 류경호텔 외관에 조명장치를 부착하는 작업이 한창이라며 공개한 야경 사진.
류경호텔은 그 상태로 20여년간 평양 한복판에 흉물로 방치됐다. 2008년 초 미국 패션잡지 ‘에스콰이어’는 류경호텔을 역사상 최악의 건물로 선정했다.
같은 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공사 재개를 지시했고, 김일성 탄생 100주년에 맞춰 2012년을 류경호텔 완공 시점으로 잡았다.
이집트 통신사 오라스콤 그룹이 북한의 이동통신 사업권을 따내는 대가로 류경호텔 공사 재개에 투자했고, 콘크리트 상태였던 외관에 유리창을 설치하는 공사가 2010년 완료됐다.
2012년 오라스콤 그룹이 계약을 파기하며 류경호텔 공사는 다시 중단됐고, 이후 공사 재개와 중단을 거듭하면서 호텔 개장은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공사 중인 류경호텔 내부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27/SSI_20211227072140_O2.jpg)
![공사 중인 류경호텔 내부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27/SSI_20211227072140.jpg)
공사 중인 류경호텔 내부 모습
북한 관광을 전문으로 하는 고려 여행사(Koryo Tour)의 사이먼 커커럴 대표와 하나 바라클라우프씨가 2012년 9월 공개한 북한 류경호텔의 내부 모습.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류경호텔엔 약 3000개의 객실이 있는데, 이는 한해 북한을 방문하는 해외 관광객 수와 맞먹는다.
외신에 따르면 북한이 류경호텔을 최종 완공하려면 북한의 국내총생산(GDP)의 약 5%에 해당하는 20억 달러(약 2조 3750억원)을 들여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