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美국무 사우디 방문…관계회복 시도

케리 美국무 사우디 방문…관계회복 시도

입력 2013-11-04 00:00
업데이트 2013-11-04 1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관 취임 후 압둘라 사우디 국왕 첫 예방

중동·유럽 국가 순방에 나선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이집트에 이어 두 번째 방문국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찾았다.

지난 3일 오후 리야드 공항에서 사우디 외무장관 사우드 알파이살 왕자의 영접을 받은 케리 장관은 4일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국왕을 예방한다.

지난 2월 국무장관으로 취임한 이래 사우디 국왕과는 첫 만남으로 케리 장관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최근 미국의 여러 중동 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껄끄러워진 양국 관계의 회복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우디는 최근 미국의 시리아 정책과 이란과의 화해 움직임, 이집트 지원 중단 등에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해 왔다.

특히 사우디는 시리아 공습안을 포기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결정에 분노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과 이란 간 조성된 우호적인 분위기 역시 사우디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9월 말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뉴욕을 방문했다가 귀국하는 로하니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했고 국제사회는 양국이 화해 수순을 밟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우디는 이슬람 수니파의 종주국으로 시아파 맹주인 이란과 경쟁 관계에 있고 시리아 정권은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다.

미국과 이란의 화해 조짐에 사우디로서는 신경이 날카로워질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미국과 사우디의 견해차는 지난 7월 이집트의 군부 쿠데타 때에도 나타났다.

미국은 쿠데타 제재 차원에서 사우디가 옹호하는 이집트 군부 정권에 대한 지원 중단 의사를 밝혔다.

사우디가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 이사국 자리를 거부한 것도 미국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케리 장관도 시리아와 이란 정책 등에서 미국이 걸프국들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이 같은 차이가 전술적인 차이일 뿐 전략적 목표는 모두 같다고 주장했다.

케리 장관은 이집트 방문 기간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히고 “시리아 내전을 끝내고 과도 정부를 세운다는 목표에는 모두가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란은 절대 핵무기를 보유하지 못할 것”이라면서 “이는 미국 대통령의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케리 장관은 “우리는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요르단, 이집트, 그리고 다른 역내 우방을 위해 옆에 있을 것”이라면서 “이들 국가가 외부의 공격을 받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그들과 함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