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의 CEO 프란치스코

민중의 CEO 프란치스코

입력 2014-08-16 00:00
업데이트 2014-08-16 02: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포천’지 집중 조명

지난해 8월 1일 영국 자산운용사 인베스코의 사장 출신인 장바티스트 드 프랑쉬는 다른 금융전문가 6명과 함께 교황청의 부름을 받았다. 이들은 게스트하우스인 ‘산타마르타의 집’에서 교황을 기다리며 “사람들이 왜 프란치스코 교황을 ‘민중의 교황’이라고 부르는지 이제 알겠다”며 교황의 소박한 숙소에 감탄했다. 그러나 교황과 면담한 뒤 이들의 평가는 달라졌다. ‘금융의 귀재’라고 자부해 온 이들은 교황을 “영감을 주는 탁월한 경영자”라고 불렀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은 14일(현지시간) 이들의 일화를 소개하며 ‘탁월한 경영자 프란치스코’라는 제목으로 교황청 개혁 등 교황의 경영자적 능력을 분석했다. 포천은 “교황은 철두철미한 전략가”라면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목표를 수행할 적임자를 선택해 이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전광석화처럼 조직을 정비한다”고 소개했다.

포천에 따르면 교황은 금융전문가 7명에게 “사람들이 내 말은 신뢰하지만 바티칸의 재정은 불신한다. 비밀이라는 먼지로 덮인 회계장부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교황은 프랑쉬를 돈세탁 비리로 얼룩진 바티칸은행장에 임명했다. 컨설팅그룹 KPMG와 EY에는 교황청의 회계를 국제기준에 맞게 바꿔 줄 것과 철저한 회계감사를 의뢰했고 매킨지에는 우수한 인재를 뽑아 줄 것을 부탁했다.

교황은 가톨릭 개혁을 위한 확실한 ‘플랜’을 갖고 있었다. 그는 바티칸의 관료주의와 비효율을 타개하기 위해 호주 시드니 교구의 조지 펠 주교를 교황청 경제사무국장으로 발탁해 전권을 줬다. 개혁성향의 펠 주교는 바티칸의 기득권은 물론 프란치스코 교황과도 전혀 친분이 없었다. 주교 시절 바티칸은 그를 ‘아웃사이더’로 여겼지만 프란치스코는 요한 바오로 2세 이후 위축되기만 하던 가톨릭을 개혁시킬 방안을 고민하고 실천했다고 포천은 분석했다. 교황청의 한 신부는 “교황이 특정 정보를 5~6명의 자문관에게 교차 확인할 정도로 꼼꼼해 얼렁뚱땅 보고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고 말했다. 교황은 ‘돈’을 어떻게 바라볼까. 그는 “인류애를 구현하는 데 돈은 아주 유용하다. 그러나 당신이 돈에 집착하면 돈이 당신을 파괴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를 두고 포천은 “실용적인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개혁과 청빈한 삶을 실천해 신자를 늘렸고, 이에 따라 재정이 흑자로 전환됐으며, 흑자 재정을 빈자들에게 되돌려주는 선순환을 구현해 전 세계에 돈을 뛰어넘는 ‘프란치스코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창구 기자 window2@seoul.co.kr

2014-08-16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