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인 월드] IT혁신 이끈 ‘흙수저 신화’ 박수 칠 때 떠난 마윈 회장

[피플인 월드] IT혁신 이끈 ‘흙수저 신화’ 박수 칠 때 떠난 마윈 회장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9-10 23:10
업데이트 2019-09-11 04: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 EPA 연합뉴스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
EPA 연합뉴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그룹의 창업자 마윈(55) 회장이 10일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AP통신은 미중 무역전쟁 등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그의 은퇴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알리바바 창립 20주년… 은퇴 약속 지켜

마윈은 이날 밤 항저우 본사에서 열린 창립 20주년 행사에서 “오늘은 마윈이 은퇴하는 날이 아니라 제도화된 승계가 시작되는 날로 이는 한 사람의 선택이 아니라 제도의 성공”이라고 말했다. 그는 1년 전인 지난해 9월 9일 자신의 55세 생일이자 알리바바그룹 창립 20주년에 맞춰 경영에서 손을 떼겠다는 뜻을 미리 밝혔었다.

●마윈 “제도화된 승계가 시작되는 날”

삼수 끝에 항저우사범대학에 들어가 청년 시절 가난한 대학 영어강사로 일했던 마 회장은 말 그대로 ‘흙수저 신화’를 쓴 중국 정보기술(IT) 업계의 거인이다. 1999년 17명의 동료와 함께 항저우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세운 알리바바는 20년도 안 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유수의 글로벌 IT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50만 위안(약 8000만원)으로 시작한 알리바바의 현재 시가총액은 4600만 달러(약 549조원)를 넘었다. 마 회장과 가족들의 재산은 390억 달러에 이른다.

●교육 자선사업으로 ‘인생 2막’ 펼칠 듯

기업가로는 청년이나 다름없는 50대 중반인 마 회장의 은퇴는 다소 이른 감이 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인들의 소비심리가 위축됐지만 지난해 알리바바의 매출액은 345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0% 이상 늘 만큼 탄탄대로를 걷고 있었기 때문이다. 회장직은 장융(47) 최고경영자가 이어받아 기업 지배구조와 경영을 분리하도록 하고 자신은 정상의 자리에서 ‘박수 칠 때’ 물러나는 행보를 선택한 셈이다. 물론 마 회장이 당장 알리바바를 떠나는 것은 아니다. 그는 경영 일선에서는 물러나지만 6%대의 알리바바 지분을 갖고 있어 여전히 이사회 구성원으로 남는다.

그는 지난해 은퇴 의사를 밝히며 자신의 ‘인생 2막’에 대해 “(MS 창립자인) 빌 게이츠처럼 교육 자선사업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9-11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