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재그 달리는 ‘레일 엘리베이터’

지그재그 달리는 ‘레일 엘리베이터’

입력 2014-11-29 00:00
업데이트 2014-11-29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獨 티센크루프 새 시스템 개발

초고층빌딩을 짓는 데 따른 기술적 제한은 무엇일까. 건물 뼈대의 강도? 전체를 떠받칠 수 있는 튼튼한 토대 공사? 이런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의외로 답은 엘리베이터다. 높을수록 사람들이 드나들기 쉽게 하기 위해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돼야 하고, 엘리베이터 설치의 기본 공간을 확보하는 것에서부터 건물의 뼈대가 잡혀 나간다.
이미지 확대


2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독일의 철강기술 재벌 티센크루프가 기존 엘리베이터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2016년부터 적용한다고 보도했다.

티센크루프사는 이 시스템에 ‘멀티’(Multi)라는 이름을 붙였다. 멀티 시스템이란 건물 안에 레일을 깔고 탄소 복합물로 만든 첨단 엘리베이터가 이 레일 위를 자석의 힘을 이용해 달리도록 한다는 것이다. 케이블과 평형추에 의존해 한 대의 엘리베이터만 계속 오르내리던 형태에서 벗어나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가 건물 안 노선을 따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사람들을 실어 나르게 된다. 사실상 건물 안에 철도 노선이 하나 깔리는 격이다.

티센크루프 측은 엘리베이터 운행 간격을 15~30초 정도로 잡고 있다. 초고층빌딩이라는 이유로 부족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느라 몇 분씩 허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렇게 할 경우 기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보다 운송량은 50% 늘리면서도 엘리베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은 5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패트릭 베이스 티센크루프 기술 부문 사장은 “단순히 기술적인 어려움을 해소했다는 수준을 넘어 초고층빌딩의 디자인상 한계도 돌파하는 것이기 때문에 꿈만 꿔 왔던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의 초고층빌딩이 등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큰 축, 각종 케이블, 안전장비 같은 것들이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설계와 디자인의 창조성이 한층 증대될 것이라는 얘기다. 안드레아스 쉬에렌벡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부문 사장은 “2016년 독일 로트바일의 240m 빌딩에서부터 이 시스템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11-29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