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혼다 “아베에 위안부 문제 말해봐야 시간 낭비”

마이크 혼다 “아베에 위안부 문제 말해봐야 시간 낭비”

입력 2014-12-24 05:02
업데이트 2014-12-24 0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교·민간교류 통해 양심세력에 호소하고 여론 조성해야””미국의 소니 해킹 대응, 과연 칼 빼들어 휘두를 일이냐”

2007년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 통과의 주역인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미국 연방 하원의원은 23일(현지시간)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자민당 극우세력에게 위안부 문제를 말해봐야 시간과 에너지의 낭비일 뿐”이라며 “이제는 일본 민초(民草)들에게 호소할 때”라고 밝혔다.

지난 17일부터 닷새간 한국을 방문한 혼다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일본 민초들에게 위안부 문제를 이해시켜 이들이 아베 정권을 압박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혼다 의원의 이 같은 언급은 현 시점에서 정치 기반이 견고한 아베 총리를 직접 압박하기보다는 하는데 더해, 민간·종교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일본 내 양심세력을 움직여 우회적으로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혼다 의원은 “한국의 교회와 일본의 교회가 교류하고 한국의 여성단체와 일본의 여성단체가 교류하는 것을 상정해보라”며 “서로 정보를 교류하면서 일본 민초들에게 위안부 문제를 이해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일본의 여론을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교실에서 아시아의 역사를 학생들에게 가르치지 않아 학생들은 과거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알 수가 없다”며 “일례로 교회 차원에서 위안부 문제를 얘기하다 보면 언론에서도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되고 이는 정치의 영역으로 스며들면서 일본의 여론을 움직이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새로운 대일(對日) 위안부 결의안을 추진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사과하도록 백악관과 국무부 등 높은 차원에서 좀 더 강하게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혼다 의원은 미국이 소니 픽처스에 대한 해킹 사건에 대한 후속대응 차원에서 북한에 ‘비례적 대응’을 하겠다고 공언한데 대해 “과연 이번 일이 칼을 빼들어 휘두를 정도의 사인인지 모르겠다”며 “소니는 국가안보 기관이 아니므로 국가안보적 사안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도 우리를 해킹했지만, 이번 사안처럼 대응하지는 않았다”며 “너무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으면서도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적절한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혼다 의원은 방한기간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한 사실을 소개하며 “한·미동맹과 무역활성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한·일관계, 남북관계 개선과 통일 등에 대해 유익한 논의를 할 수 있는 기회였다”며 “전체적으로 이번 방한은 성공적이었으며 에너지가 넘치고 성과가 많은 압축적인 방문이었다”고 자평했다.

혼다 의원은 특히 “이번 방한의 주된 목적은 한국과 실리콘밸리의 교류와 공통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무대를 마련하는 데 있었다”며 “나는 실리콘밸리 진출과 관련해 삼성을 비롯한 한국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