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림, 와다 하루키, 브루스 커밍스 3명의 학자가 한자리에 모인다.
23일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동아시아협력센터가 주최하는 ‘한국전쟁 60주년 특별국제학술회의’에서다. 알려진 대로 이 3명의 학자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념비적인 저서를 낸 학계의 큰 인물들이다.
‘한국전쟁의 기원’을 낸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교수와 ‘한국전쟁’을 낸 와다 하루키 도쿄대 교수는 도도한 수정주의 물결을 만들어냈던 학자. 이들은 단순하게 남북 가운데 누가 먼저 38선을 넘었느냐를 따지기보다 정치사회적인 구조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한국전쟁의 내전적 성격을 강조했다. 반면 박명림 연세대 교수는 국제전·내전의 이분법이나 내전이 국제전으로 발전했다는 관점을 거부하고, 김일성이 주도적으로 스탈린과 마오쩌둥을 끌어들인 내전이자 국제전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들 세 학자는 이날 학술대회에서 최근 천안함 사태에서 보듯 아직도 끝나지 않은 한국전의 의미와 동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24일에는 세 명의 학자가 나와 ‘역사, 진실, 학문탐구-한국전쟁 연구와 개인적, 사회적 경험’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이 이어진다. 청중들과 공개토론도 함께한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3일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동아시아협력센터가 주최하는 ‘한국전쟁 60주년 특별국제학술회의’에서다. 알려진 대로 이 3명의 학자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념비적인 저서를 낸 학계의 큰 인물들이다.
‘한국전쟁의 기원’을 낸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교수와 ‘한국전쟁’을 낸 와다 하루키 도쿄대 교수는 도도한 수정주의 물결을 만들어냈던 학자. 이들은 단순하게 남북 가운데 누가 먼저 38선을 넘었느냐를 따지기보다 정치사회적인 구조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한국전쟁의 내전적 성격을 강조했다. 반면 박명림 연세대 교수는 국제전·내전의 이분법이나 내전이 국제전으로 발전했다는 관점을 거부하고, 김일성이 주도적으로 스탈린과 마오쩌둥을 끌어들인 내전이자 국제전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들 세 학자는 이날 학술대회에서 최근 천안함 사태에서 보듯 아직도 끝나지 않은 한국전의 의미와 동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24일에는 세 명의 학자가 나와 ‘역사, 진실, 학문탐구-한국전쟁 연구와 개인적, 사회적 경험’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이 이어진다. 청중들과 공개토론도 함께한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6-23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