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소르망, 자본주의 ‘위대함’을 변주하다

기 소르망, 자본주의 ‘위대함’을 변주하다

입력 2012-09-05 00:00
업데이트 2012-09-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작 ‘어느 낙관론자의 일기’ 펴내

‘자유민주주의자’인 프랑스의 세계적 석학 기 소르망(68) 파리정치대학 교수가 최근 펴낸 신간 ‘어느 낙관론자의 일기-세계화연대기Ⅱ 2009~2012’(문학세계사 펴냄)는 ‘세계는 평평하다.’는 이론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책이다.

●만인의 행복 추구는 순진한 자유주의

이미지 확대
기 소르망 연합뉴스
기 소르망
연합뉴스
이 책은 ‘경제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라는 기 소르망의 명제이자 저서명을 통해 자본주의의 위대함을 지겹도록 다양하게 변주했다. 그는 “사회적 혜택과 경제적 자유를 모두 누리며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순진한 자유주의거나 이념적 허구”라면서 “경제는 결국 두 개의 나쁜 것 중에 덜 나쁜 것을 가려내는 선택의 문제”라고 이야기한다. 이를테면 기후온난화에 대해 지구는 생각만큼 더워지지 않았다면서, 온난화를 주장해 위기를 강조하는 것은 지금까지의 성과를 무위로 돌리려는 것 아니냐고 의심한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반대를 반대한다. 그는 아프가니스탄이나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옹호한다. 때문에 ‘유럽 지식인들은 대충 좌파가 아니냐.’는 인식이 기 소르망에서는 확 깨져버린다.

기 소르망이 한국에서 각광받는 이유는 “상품과 문화를 동시에 수출한 나라는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그리고 한국뿐이다.”라고 주장하는 등 한국에 매우 우호적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상품·문화 동시수출 드문 나라

그의 한국 사랑은 동양에 대한 그의 편견을 고려할 때 상당히 이례적이다. 그는 아시아가 패권을 쥐는 시대가 올 것이냐는 질문을 끊임없이 하면서도, 동양의 경제성장과 평화는 모두 서방의 체제가 지켜주고 있다는 말을 서슴없이 대놓고 한다(42쪽).

그러나 그의 책을 쭉 따라 읽다 보면 한국에 대한 그의 남다른 애정은 한국이 유교문화의 전통을 잃어버리지 않으면서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를 구현하고 또한 문화적인 역량까지 갖춘 드문 나라라고 판단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탈식민지화를 하면서 민족주의와 독재로 망가진 ‘동양’을 생각할 때 참으로 신기하게 느껴지는 모양이다. 사법 권력이 정치나 행정에 비해 우위를 차지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54쪽), 개혁·개방을 추진하는 이슬람 사회에 대한 과거사 분석(237~256쪽) 등은 한국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9-05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