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 검은돈’ 풍문에 앞이 캄캄했던 화랑가

‘그림 = 검은돈’ 풍문에 앞이 캄캄했던 화랑가

입력 2012-12-29 00:00
업데이트 2012-12-29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돌아 본 2012년 미술계

“한 번 더 확인해봐주세요. 사장님 휴대전화에 제 번호나 이름 같은 거 남아 있는 거 아니죠?” 한 갤러리 사장은 2012년 미술계에 불어닥친 찬바람을 이렇게 설명했다. 오랫동안 거래해왔던 컬렉터에게서 전화를 받았는데, 그 내용인즉슨 괜스레 갤러리를 통해 미술품을 사고 팔았다는 얘기가 알려지면 이래저래 귀찮을 것 같으니 번호를 지워달라는 거였다. 오랜 기간 신뢰를 쌓아온 사이임에도, 괜스레 오해를 사거나 부담지기는 싫다는 거였다.
이미지 확대
문경원 전준호의 영상작업에 등장하는 배우 임수정.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문경원 전준호의 영상작업에 등장하는 배우 임수정.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연초부터 조짐은 감지됐다. 저축은행 비리 수사를 확대하다 몇몇 대기업과 저축은행들이 비자금을 조성하거나, 자금 세탁을 하기 위해 미술품에 손대왔다는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초상’(게르하르트 리히터), ‘사랑의 안과 밖까지’(데미안 허스트), ‘플라워’(앤디 워홀)처럼 유명한 작품들이 미술 기사가 아니라 사회 기사의 소재로 떠올랐다.

여기다 2007년 한상률 전 국세청장 그림로비 사건, 2008년 삼성그룹 비자금 사건 때 거론됐던 홍송원 서미갤러리 대표 이름이 다시 불거지면서 ‘그림 = 검은 돈’이란 공식이 또 한 번 번져나갔다. 화들짝 놀란 미술계는 화랑협회 차원에서 서미갤러리에 대해 무기한 권리정지라는 중징계 처분을 내렸으나 대세를 되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국세청 같은 곳에서 몇몇 갤러리들을 유심히 들여다보고 있다는 풍문이 한 해 내내 잦아들지 않더니, 컬렉터들은 갤러리로 가는 발길을 점차 줄였다.

비엔날레 홍수도 도마에 올랐다. 광주가 주목받자 대구, 부산, 대전, 서울 등 대도시들이 전부, 그것도 9월에 집중적으로 비엔날레를 열었다. 때문에 차별적이고 제대로 된 기획이 가능하겠느냐는 비판이 일었다. 8월에는 내년말 개관을 목표로 했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장에서 화재가 발생, 4명의 인부가 숨지는 사고가 났다.

나쁜 소식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독특한 영상, 설치 작업을 선보여왔던 문경원·전준호 작가에게 올해는 가장 화려한 해였다. 1992년 육근병에 이어 20년 만에 최대 현대미술 축제라는 독일 카셀도큐멘타에 초청받은데 이어 광주비엔날레의 대상 ‘눈예술상’과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의 작가상’까지 받았다. 이들이 선보인 작품은 책, 인터뷰, 영상 등을 복합적으로 결합시킨 장기프로젝트 ’뉴스 프롬 노웨어’(News from Nowhere)였다. 이 가운데 두 채널 영상 작품 ‘세상의 저 편’(EL FIN DEL MUNDO)에는 임수정, 이정재 같은 유명 배우가 출연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또 눈길을 끈 작가로는 서도호가 있다. 노마디즘과 연계해 인기가 제법 높았던 이 작가는 지난 3월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일종의 회고전 성격이 짙은 ‘집 속의 집’전을 열었는데 이 전시에 1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몰리면서 리움 개관 이래 최다 관람객 수를 기록했다. 또 미술계 불황에도 불구하고 서울 부암동에 서울미술관이, 인사동 옆 견지동에 아라아트갤러리가 들어선 것도 희소식이었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2-12-29 17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