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관 “백남준 ‘다다익선’ 2022년 재가동”

현대미술관 “백남준 ‘다다익선’ 2022년 재가동”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9-09-11 20:58
업데이트 2019-09-11 2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품 노후화로 19개월째 가동 중단…일부 최신 기술 도입 수리·복원키로

이미지 확대
부품 노후화로 19개월째 가동이 전면 중단된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대표작 ‘다다익선’이 대대적인 복원 작업에 들어간다.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MMCA)은 기존 브라운관 모니터를 수리·복원해 2022년 재가동할 방침이다.

현대미술관이 11일 밝힌 ‘다다익선 3개년 복원 프로젝트’는 원형 유지를 목표로 한다. 다만 복원에 불가피한 경우에는 원작에 사용되지 않은 신기술 부품도 사용한다.

1988년 현대미술관 과천 현관에 놓인 ‘다다익선’은 TV 모니터 1003대를 원형 오층탑처럼 쌓아 올린 작품으로, 바닥 지름 7.5m, 높이 18m에 이른다. 백남준 유작 중 가장 크다. 2003년 모니터 전면 교체 등 여러 차례 복원 작업을 거쳤지만 모니터·부품이 고장나고, 지난해 2월엔 화재 위험 등 안전 문제로 가동을 중단했다.

현대미술관은 작품 원형 복원을 위해 백남준의 ‘세기말Ⅱ’를 7년에 걸쳐 복원한 미국 뉴욕 휘트니미술관을 비롯해 독일 ZKM, 뉴욕현대미술관(MoMA) 등 국내외 미술 기관 전문가 40여명과 협력해 비슷한 사례를 조사했다.

현대미술관 관계자는 “작품은 시대성을 반영하며 ‘다다익선’ 브라운관 모니터는 20세기를 대표하는 매체”라면서 “작고한 작가의 작품 복원에서 가장 기본적인 자세는 원형 유지이며 이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미술관 임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브라운관’으로 알려진 음극선관(CRT) 모니터는 세계적으로 생산이 중단된 상태라, 부품 확보가 어려울 경우 최신기술을 부분적으로 도입해 기존 모니터와 혼용할 계획이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9-09-12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