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말갑옷 포함 유물 5건 보물 지정예고
‘합천 옥전 28호분 금귀걸이’
문화재청은 경남 합천 옥전 28호분과 M4호분, M6호분에서 1쌍씩 나온 금귀걸이와 M3호분에서 발굴한 고리자루 큰 칼 4점, 경남 함안 마갑총에서 나온 말갑옷 및 고리자루 큰 칼을 보물로 지정예고한다고 23일 밝혔다.
합천 옥전 28호분 금귀걸이는 금판 고리를 연결해 길게 늘어뜨린 형태다. 현존 가야 긴사슬 장식 금귀걸이 중 가장 화려하고 보존 상태도 뛰어나다.
M4호분 금귀걸이는 좌우 한 쌍이 온전한 형태로 나왔다. 무덤 주인공 유골의 귀 위치에서 발견해 실제 착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가야 귀걸이 양식을 대표하는 가늘고 둥근 주고리 아래 공과 나뭇잎, 산치자 열매 모양 장식을 차례로 늘어뜨렸다. 금 알갱이를 테두리에 붙이거나 금선 형태를 만든 누금세공기법과 금판을 두드려 요철 효과를 낸 타출기법이 모두 적용돼 당시 발달한 세공기술을 보여 준다. M6호분 금귀걸이는 목곽 남쪽에 놓인 무덤 주인공 머리 부근에서 발견됐다. 신라 금귀걸이 중간식 형태와 가야 산치자형 끝장식이 결합한 양식이다.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은 칼 여러 점이 한 무덤에서 나온 첫 사례다. 손잡이와 칼 몸통 등을 금과 은으로 장식해 삼국시대 동종 유물 중 제작 기술과 형태 등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에서는 손잡이 부분을 가는 은선으로 감은 뒤 매우 얇은 금박을 붙인 흔적이 발견됐다. 지금은 사라진 전통적인 금부 기법의 일종으로 보인다.
함안 마갑총에서 나온 말갑옷 및 고리자루 큰 칼은 무덤 주인공 좌우에 하나씩 놓였다. 5세기 아라가야 때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동북아 철기의 개발·교류 양상 등을 보여 주는 말갑옷은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온전히 남아 희소성과 완전성 면에서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은 “가야 생활상과 기술 수준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유물들로, 가야 유물의 역사·학술·예술적 가치를 재평가해 보물로 지정한다”고 설명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0-2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