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고 높은 보살 미소

높고 높은 보살 미소

입력 2014-11-04 00:00
업데이트 2014-11-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높이13m 국내 최대 개암사‘괘불’ 국립중앙박물관서 일반 첫 공개

아파트 5층 높이의 국내 최대 규모 ‘괘불’(야외에 거는 부처의 그림)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일반에 처음 공개됐다.
이미지 확대


박물관은 전북 부안 개암사에서 간직해 온 가로 9.2m, 세로 13.1m의 괘불(보물 제1269호)을 내년 4월 26일까지 박물관 내 서화관에서 특별전시한다고 3일 밝혔다.

전시실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운 이 거대한 그림은 지금까지 일반에 공개된 괘불 가운데 가장 높고 넓은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괘불 테마전에 나온 아홉 번째 작품으로 이전 8점보다 훨씬 크고, 바로 직전 전시된 경기 고양 흥국사 괘불보다는 4배나 넓다.

장진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1941년 개암사 주지로 계셨던 주봉 스님이 쓰신 부안 개암사 연혁기를 보면 호남지역에 개암사 괘불보다 큰 괘불은 없다는 기록도 있다”고 전했다.

그림은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중앙에 놓고 상단에 다보여래와 아미타불,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을 배치해 칠존상(七尊像)을 표현했다.

1749년 이 괘불의 제작을 주도한 이는 당시 최고의 승려 화가였던 의겸이었다. 석가모니, 문수보살, 보현보살 등 석가삼존을 화려한 채색과 섬세한 필치로 표현해 예술적 완성도에서 으뜸이란 평가를 듣는다.

화면 하단에 기록한 화기(畵記)에 따르면 의겸은 우두머리 승려 화가인 수화승(首畵僧)으로서 다른 화승(畵僧) 10여명을 감독해 영산회(靈山會) 의식에서 사용할 영산괘불(靈山掛佛)로 이 그림을 완성했다. 화기에는 괘불 제작에 필요한 물품을 공양한 이들의 이름도 적었는데 일반신도 191명과 승려 59명을 합해 모두 250명에 이른다.

개암사에 전하는 기록에 따르면 이 괘불은 영산재 말고도 기우제를 지낼 때도 사용됐다. 19세기 부안 지역에 가뭄이 계속되자 괘불을 걸고 부처에게 비를 내려 달라는 의식을 치르자 비가 내렸다는 기록도 전한다.

이번 전시에는 이 괘불의 밑그림인 것 같은 크기의 초본도 나왔는데 괘불의 초본이 전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1-04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