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독교차문화협회장 박천현 장로 부부 ‘한국의 행다례 25’ 펴내
불교에 ‘다선일미(茶禪一味)’란 말이 있다. 차를 마시는 것은 참선 수행을 하는 것과 같다는 말인데, 그만큼 불교와 차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음을 뜻한다. 그래서인지 한국 사회에서의 차 문화는 최근 상당히 대중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교 색채가 강하다.서울씨티교회에서 부활절 다례를 시연하고 있는 세계기독교차문화협회 회원들.
이른아침 제공
이른아침 제공
책에는 차의 특성과 역사, 기독교와의 관계 등 이론적인 것부터 각종 기독교식 다례의 실행법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전하고 있다. 또 책 곳곳에서 기독교와 차 문화의 궁합, 기독교 생활에서의 차 문화의 필요성 등에 대해 역설한다.
우선 불교와 마찬가지로 기독교에서도 술을 마시지 않기 때문에 접대에 차가 꼭 필요하다고 이들은 말한다. 또 다례 공부를 통해 이웃에 대한 존경과 예절을 배우게 되는데, 이것이 효과적인 복음전파로 이어질 수 있다. 다례를 통해 배우는 중정(中正·한 곳에 치우치지 않음)의 몸가짐도 복음의 정신과 통한다고 한다.
이들이 말하는 ‘기독교 차 문화’가 사실 불교와 같은 탄탄한 전통적 근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모든 식물은 하나님이 만들었다.’는 창세기 1장 11~12절 내용과 “문화는 계속해서 창조해 나가는 것”이란 생각으로 차 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재해석을 해 나가는 것이다.
기독교식 다례라고 해서 기존 것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기(茶器)를 씻고 차를 우려낸 뒤 이를 나눠 마시며 향을 음미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불교에서 ‘다즉선(茶卽禪·차가 곧 참선이다)’을 외치며 차 마시는 시간을 참선하는 시간으로 보듯, 기독교 다례에서도 이 시간을 기본적으로 ‘기도와 묵상의 시간’으로 삼는다.
기독교 다례에서는 중간중간 감사 기도가 들어간다. 처음 다기와 찻잎을 꺼내놓은 뒤는 물론, 찻물이 끓거나 차가 우러나는 시간 동안에도 감사 기도를 올린다. 자리를 파할 때도 마찬가지다. 특히 혼자 차를 마시는 시간은 성경 말씀이나 예수의 일생을 되짚는 묵상 시간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런 기본적인 일상 다례 외에도 부활절, 추수감사절 등 기독교 명절에 행하는 다례도 따로 마련돼 있다. 이런 날에는 차를 마시는 자리에 부활을 상징하는 꽃과 함께 십자가를 두기도 하고, 차가 우러나는 동안 시편이나 잠언을 번갈아 읽기도 한다. 결혼 폐백식에서도 술 대신 차를 활용하고 다산을 기원하며 밤·대추를 던지는 대신 성경 말씀을 전한다.
박천현 회장은 “기존 차 문화는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있어서도, 현대 대중문화와의 결합에 있어서도 별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며 “다례의 전통을 살리면서 현대 생활과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끝없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연 교육원장은 “기독교인 중에서도 차 문화는 불교 문화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면서 “이런 오해를 풀고 기독교인 생활 속에 차 문화가 깊이 뿌리내릴 수 있게 힘쓸 것”이라고 했다.
두 부부는 경기 남양주에 있는 협회 센터에서 일주일에 한 번씩 기독교 차 문화 강의를 연다. 이미 ‘다화(茶花)’, ‘한국의 아름다운 찻자리’ 등 차 관련 서적을 냈던 이들은 앞선 내용들을 종합해 조만간 휴대용 다례 서적도 발간할 예정이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6-09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