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시인의 담백하고 맑은 서정

노시인의 담백하고 맑은 서정

입력 2010-07-03 00:00
업데이트 2010-07-03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해 신작 시집 ‘봄꿈을 꾸며’

한껏 치장하거나 짐짓 심각하지 않아도 된다. 감상의 언어를 늘어놓지 않아도 그 울림이 퍼진다. 그저 마음길 닿는 대로 서성일 뿐이고, 그러다 흘러 넘치는 건 덤덤히 주워담을 뿐이다. 그렇게 시(詩)가 된다.

노() 시인 김종해가 9년 만에 신작 시집 ‘봄꿈을 꾸며’(문학세계 펴냄)를 내놓았다. 김종해는 1941년에 태어났으니 우리 나이로 이제 고희다. 또한 1963년에 등단했으니 벌써 48년째 시를 쓰고 있는 셈이다. 흔히 말하는 연륜일까.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빼곡히 들어찼다.

이미지 확대
김종해 시인
김종해 시인
현란한 지적 유희나 잔뜩 꾸민 시어들은 그의 몫이 아니다. 그의 시어는 갓 세수하고 밥상 앞에 앉은 아이의 말간 얼굴처럼 담백하다. 욕심을 부리는가 싶어도 시장했던 아이가 맛나게 냠냠거리는 모습을 벗어나지 않는다. 원숙한 이가 다다르는 경지를 실감하게 한다.

평양 방문 길에 400달러가 든 봉투를 잃어버렸다가 되찾은 사연(‘평양 삽화’), 디지털카메라로 평양 사람, 백두산 일출, 양강도 삼지연 등을 일껏 찍어놓고 서울 와서 보니 온통 까만색뿐이었다는 얘기(‘북조선 주마간산’), 경기 안성에 있는 시인 장석주의 집에 놀러 갔다가 안개 낀 금광호수 옆 콩밭에서 똥싼 일(‘안개 낀 금광호수’) 등은 왜 그의 시가 이토록 담백하고 맑은 서정을 담아낼 수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그뿐 아니다. 시집에는 망자에 대한 기억을 더듬고 죽음을 성찰하는 시편들이 유독 많다.

첫 대상은 피붙이다. ‘노는 날도 없이/ 한평생 쎄가 빠지게 철공일 했던 생야/…/ 잘 가시소, 생야/’(‘우야꼬 인자 우짜꼬’ 중)라면서 용접공으로 평생을 살다가 떠난 형을 그리워하고, ‘…/ 발바닥이 아파도/ 배가 고파도/ 엄마와 단둘이 걷는 황톳길이/ 나는 더 좋았다’(‘황톳길’ 중)며 어머니를 기억한다. 그리고 조태일, 이문구, 손춘익, 임영조 등 하나씩 둘씩 곁을 떠난 동료 문인들을 되새겨 본다.

표제작 ‘봄꿈을 꾸며’는 그리 많이 남지 않았을-살아왔던 날보다-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며 지나온 삶을 반추하는 통찰의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시집의 대표적 절창 중 하나다. ‘…/ 한평생 살아온 세상의 봄꿈이 언덕 너머 있어/ 기다리는 동안/ 세상은 행복했었노라고요’라며 죽음에 대한 초월과 해탈이 엿보인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7-03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