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와 홍대용, 생각을 겨루다】 김도환 지음 책세상 펴냄
보통 정조와 실학 사상가들은 개혁파로 간주된다. 그런데 이 해석은 자의적이란 비판을 받는다. 현재의 필요 때문에 너무 왜곡했다는 것이다. 핵심은 노론의 성리학과 남인의 실학이 대립한 적 없다는 것이다. 성리학은 불교나 도교를 허(虛)하고 공(空)하다고 비판하면서 스스로 실(實)학임을 내세운 학문이다. 해서 실학자들의 주장은 이기이발론 같은 철학적 주제는 그만 떠들고 유학의 본령, ‘실학으로서의 성리학’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실학은 개혁적이고 근대 지향적이라기보다 오히려 더 철저하게 과거 회귀적이고 복고적인 사상인 셈이다.실학자 홍대용은 이용후생의 뿌리를 주자에게서 찾았다. 박지원은 아들에게 중국식 상투를 틀게 했고 박제가는 중국어공용화론자였다. 노론 성리학자들 못지않은 ‘중국앓이’인 셈이다. 그렇다면 정조는?‘정조와 홍대용, 생각을 겨루다’(김도환 지음, 책세상 펴냄)는 개혁 군주 정조가 아니라 ‘권력자, 그것도 약간 신경증적 정조’에 한 표 던진다. 저자는 홍대용 전문가로서 책을 썼는데 책은 오히려 정조에 대한 관찰 일기로 읽힌다. 그럴 만한 것이 책 자체가 홍대용의 ‘계방일기’를 번역한 것이다. 정조가 보위에 오르기 직전 세손으로서 신하들과 벌인 토론 내용을 기록해둔 것이다.
이 토론, 살얼음 위를 걷는다. 영조 나이 여든을 넘겼고 세손은 왕위 계승을 눈앞에 두고 있다. 실제 다음 해인 1776년 영조가 사망한다. 요즘 말로 하자면 대통령 당선자, 그것도 절대 권력을 지닌 종신 대통령 당선자와 함께 토론하는 것이다. 미래 권력자는 자신의 뜻을 은연 중에 드러내고 어떤 대답을 하느냐에 따라 신하의 앞길이 달라질 것이다. 또 권력의 향배에 관심 있는 이들은 얼마나 세손의 머릿속이 궁금했겠는가. 실제 세손은 토론 내용이 자꾸 바깥으로 흘러나가 툭 터놓고 토론할 수 없다고 불평할 정도였다.
이 자리에서 홍대용은 실학으로서의 성리학, 즉 이용후생을 거듭 강조한다. 세손의 관심은 권력과 정치다. 절대권력으로서의 왕권 강화다. 그렇기에 노론의 거두 우암 송시열을 두고 나누는 대화는 아슬아슬하기 이를 데 없고 홍대용이 세손에게 아예 대놓고 위엄이 부족해 보인다고 비판하는 대목에서는 저래도 될까 싶을 정도다. 저자는 왜 그런 문답이 오가는지 역사적 배경을 충분히 설명하고 그들이 과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추론까지 진행한다. 앞뒤로 설명과 해제도 충실하다. 덕분에 손쉽게 읽힌다. 1만 5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3-31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