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이 수행해온 진짜 과학의 역사

과학자들이 수행해온 진짜 과학의 역사

입력 2012-12-22 00:00
업데이트 2012-12-2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림으로 보는 과학의 숨은 역사】 홍성욱 지음 책세상 펴냄

우리가 과학의 역사를 말할 때, 과연 냉정한 이성으로 사실과 진리를 발견해온 역사로만 기술될 수 있을까. 이런 질문에 그러지 않다는 대답이 나온다. 이유를 물어본다. 과학의 역사에 있어서 사실의 추적과 이론의 발전만이 아니라 이론과 실험의 오류, 퇴행, 답보가 도사리고 있으며 이러한 모든 것들은 다시 열정, 상상력, 감정, 감수성, 욕망, 경쟁심, 심지어 편견을 가진 과학자라는 존재와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학자라는 말은 언제 어떻게 탄생했을까. 자연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과학의 전통은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한테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근대 과학의 역사는 16세기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설 천문학을 시발점으로 일어난 ‘과학혁명’ 이후로부터 기술돼 있다. 과학혁명 이후 유럽의 과학은 18세기 계몽사조와 관계를 맺으며 발전했다. 19세기에는 생물학의 과학혁명이라 할 만큼 다윈의 진화론이 제창됐고 과학자의 전문 직업화와 과학의 제도화 또한 급속히 진행됐다. 이런 과정 속에 1831년에 과학자(scientist)라는 말이 처음 나왔으며 20세기에는 아인슈타인이 특수 상대성 이론으로 새로운 시공 개념을 창안해 물리학 혁명을 일으켰다.

신간 ‘그림으로 보는 과학의 숨은 역사’(홍성욱 지음, 책세상 펴냄)는 한 장의 그림에서 출발한다. 르네상스기에 활동한 이탈리아 엔지니어 아고스티노 라멜리의 ‘책바퀴’(독서기계)라는 그림이다. 그 속에 있는 독서기계가 당시 실제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세월이 지나 1985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그 기계가 처음 선보였다. 르네상스기에 그려진 한 장의 그림이 현대의 과학기술로 세계적인 건축가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손에 의해 실현된 것이다. 저자는 이 그림 한 장을 계기로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이미지들을 수집하기 시작했으며 자연스럽게 예술로 확장시켜 나가면서 예술과 기술, 과학과 미학, 그리고 모든 것에 담긴 인간적인 요소들을 융합한 11편의 이야기를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따라서 과학과 관련됐거나 또는 과학에서 사용해온 이미지 자료들, 다시 말해 회화, 조각작품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이 펴낸 책의 표지 그림, 권두화, 스케치 등을 매개로 한 과학의 역사를 새롭게 독해하고 있다. 몸과 감정을 가진 과학자들이 수행해온 진짜 과학이 생생한 역사, 그리고 문화와 예술의 맥락으로 읽는 인문적·융합적 과학사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1만5000원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2-12-22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